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배고픈늑대184
배고픈늑대184

언제까지 금리가 계속 오를까요?

하반기 들어서 계속 금리가 인상되고 있습니다. 내년에도 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언제까지 얼마나 금리가 인상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금리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쫓아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이유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심화되면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되고 환율의 상승은 곧 수입원자재 매입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져 결국에는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 상승으로까지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상의 척도가 될 수 밖에 없는데요. 현재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계획은 내년 상반기까지 예상하고 있으며 미국의 CPI지수가 발표됨에 따라서 그 인상 속도나 정점 금리가 차이가 있을 수는 있으나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인상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는 것은 대부분이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 연준의 예측은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인상을 하게 되면 2023년도 연말 3%대의 인플레이션율에 안착하고 2024년도 상반기에 목표로 하는 2%대의 인플레이션율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도 미국을 따라서 내년 중반까지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이 높으며 내년 6월쯤이 금리의 정점을 찍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정점의 금리는 한국은행이 이야기하는 3.5%보다 높은 4.25%~4.5% 수준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이 얼마나 지속될지는 정확히 말씀 드릴수는 없지만,
      어느정도 정점에 오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의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11월에 0.25%(베이비스탭) 금리를 인상했는데요.
      미국과의 금리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릴 수 없는 상황입니다.

      미국역시 지금은 다른 나라에 비해 경제사정이나 고용에 크게 문제가 없다고 하나
      금리를 올해처럼 지속적이고 공격적으로 올리게 된다면 인플레이션은 어느정도
      완화 될 수 있으나, 동시에 내년에 심각한 경기침체를 겪을 수 있습니다.

      제 소견으로는 향후 여러가지 지표, 전 세계적인 정세(우크라이나 전쟁, 중국봉쇄 등) 등을 보면서 금리를
      조절할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처럼 공격적으로 올리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경제 제재, 미국과 중국 간 첨단산업 경쟁 심화 등 지정학적 분절화가 대두되고 있으므로 물가 상승률이 가시적으로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내년까지는 추가적인 금리 인상에 이은 고금리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어느정도까지 언제까지 상승할지는 예상할 뿐 아무도 정확하게 맞출 수 없지만, 현재로서는 적어도 내년 상반기정도까지는 지속적으로 금리인상정책이 시행되지 않을까라는 예상이 지배적입니다.

      다만, 그러한 예상도 고용지표나 물가 상승등을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수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내년 상반기까지는

      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벌어졌고 이를

      좁히기 위하여 몇차례는 더 인상할 것으로 보이며 기준금리와 같은 경우 3.75~4% 내에

      결정되지 않을까 싶으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