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장마와 태풍은 여름에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장마와 태풍은 다양한 계절 중 주로 여름에 발생하는 것 같은데 어떤 이유로 여름에 장마나 태풍이 주로 발생되는 것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장마는 남쪽에 위치한 북태평양 기단과 북쪽에 위치한 오호츠크해 기단이 서로 맞부딫혀 발생하는 정체 전선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우리나라는 겨울 동안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다가 초여름부터는 오호츠크해 기단의 영향을 받습니다. 초여름이 지나갈 무렵부터는 오호츠크해 기단과 남쪽에서 확장되는 북태평양 기단이 만나 서로 밀어붙이는 정체 정선을 형성합니다. 오호츠크해 기단과 북태평양 기단은 모두 해양성 기단이라 수증기가 풍부하므로 정체 전선을 형성함과 동시에 많은 비를 내리는 데 이것이 장마입니다. 장마는 제주도 남쪽에서부터 시작되며 북태평양 기단이 확장됨에 따라 점차 북상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장마가 지속되는 기간은 약 한 달 정도이며, 장마 전선이 북쪽으로 밀려 올라가면 우리나라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 아래 놓여 무더위가 지속됩니다. 이후 시베리아 기단의 확장에 따라 장마 전선이 다시 내려오면서 비를 내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가을 장마라고 합니다.
태풍은 열대 저기압이 발달한 것입니다. 열대 저기압은 위도 5~25의 아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면 에너지원은 해상에서 증발한 수증기의 잠열입니다. 6월까지는 우리나라 부근 바다의 수온이 충분히 높지 않아 에너지원을 공급 받지 못하므로 올라오지 못합니다. 따라서 표층 수온이 충분히 올라온 7~9월에 우리나라까지 올라옵니다. 우리나라를 통과하거나 주국 등 내륙으로 들어간 태풍은 고위도의 차가운 해수나 육지를 지나며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해 세력이 약한 저기압으로 변질하며 소멸합니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한 표층 수온의 상승으로 7월 이전에도 태풍이 올라올 수 있으며, 테풍의 세력도 예전보다 강해져 슈퍼 태풍이 올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장마가 여름에 생기는 것은 정체전선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고기압 사이에서 형성된 정체전선이 남북으로 오르내리며 비를 지속적으로 내리게 되는 현상으로서 여름엔 북태평양 고기압이 강해지면서 북상하게 되는데 이는 고온 다습한 남쪽의 공기가 상승하게 되는것이죠. 북쪽에선 찬 공기인 오호츠크해 해양성 고기압이 남하하게 되며 차갑고 습한 공기와 뜨겁고 습한 공기가 서로 부딪히며 전선을 형성하게 되며 이 두 공기의 충돌로 생긴 전선이 한반도 부근에 머무르게 되면서 장마를 형성하게 되는것이죠. 이러한 현상은 6월~7월 사이에 주로 발생하게 됩니다. 태풍은 해수면의 온도가 26.5도 이상일때 강한 상스기류가 발생하게 되면서 나타나게 되는데, 강한 태양 복사 에너지로 인하여 여르철엔 바다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덥고 습한 공기가 상승하며 열에너지를 방출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