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보고싶은흰죽지50
보고싶은흰죽지50

노벨상은 꼭 박사학위를 받은사람만 수상할수 있나요?

과학 발전에 공헌한 사람들을 뽑아서 각 부문별로 노벨상을 수여하는데

꼭 관련 학문의 학위가 있어야만 수상이 가능한가요?

예를들어 에디슨 처럼 상업적인 발명가지만

인류의 과학발전에 막대한 공헌을 한 사람들도 꽤 많이 있는데

그들이 관련학문의 학위나 논문을 발표하지 않고도

노벨상을 수상할수 있나요?

그리고 네이처나 사이언스 같은 과학 저널에 과학교수나 관련학위가 없는

일반인이 논문을 써도 인정받을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오지에서 농사를 짓던 농부가

이미 멸종된것으로 여겨지던 새로운 동식물을 발견해서

논문을 쓴다면 관련학문 이수자가 아니더라도 세계적으로 인정을 해 주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연한악어244
      유연한악어244

      논문은 일반인도 쓸 수 있습니다. 학회, 저널, 다양한 협회에서 논문을 받고 있습니다. 논문에 맞는 형식을 갖춰야 하고 내용 심사 과정을 통과해야 합니다. 심사 난이도는 천차만별입니다. 여기서 학위를 가진 사람이 좀 더 유리합니다. 아무래도 논문을 많이 접했고, 써봤기 때문입니다.

      유명 학회나 저널에도 소속 없이 개인으로 논문을 제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소속 기관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나, 학위는 그리 중요하지 않습니다. 유명한 곳일 수록 심사가 까다로울 뿐 학위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10년 내에 노벨상 수상자가 안 나올 것이다. 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근거는 노벨상을 타기 위해서 필요한 일종의 코스가 있기 때문입니다.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비슷한 코스를 밟고 노벨상을 타게 됩니다.

      먼저 노벨상을 타기 전에 과학계에서 유명한 상을 수상해야 합니다. 그리고 과학자들 사이에서 논문의 인용이 상위 0.1%이내에 들어야 합니다. 이과정을 따라가려면 30세 이전에 박사 학위를 마치고 독자적 연구를 시작해 40세쯤에 노벨상급 연구를 완성하며, 50~55세에 울프상 등 ‘프리 노벨상’을 받고, 55~60세에 노벨상을 받게 됩니다.

      예외는 2002년 노벨상을 받은 정밀기계 업체인 시마즈제작소 연구원 다나카 고이치가 있습니다. 세계 최초로 세포 속 단백질의 무게를 측정하는 데 성공해 신약 개발에 크게 공헌한 점으로 노벨 화학 상을 받았습니다. 그의 최종학위는 학사입니다. 이 연구는 26세 때 시마즈제작소 연구소에서 재료를 잘 못 섞는 실수를 했는데, 재료가 아까워 연구를 계속하다 발견했습니다. 노벨상은 43살에 받았습니다.

      비슷한 연구를 한 사람이 몇 명 더 있었는데, 다나카 고이치의 학술 발표를 참고했다고 해서 다나카 고이치의 공헌을 더 높게 보고 노벨상을 수상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참고

      https://www.joongang.co.kr/article/12772386#home

    • 이전에 일본에서 회사원이 노벨 화학상을 받은 사례가 있습니다.

      이 회사원은 다나카 고이치라는 분인데, 노벨상 과학 분야 수상자로는 유일하게 학사만 마친 수상자 입니다.

      따라서 질문하신 답변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이 아니더라도 수상이 가능합니다.

      아래 위키백과에 사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B%A4%EB%82%98%EC%B9%B4_%EA%B3%A0%EC%9D%B4%EC%B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