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 방사선량 1200~1500밀리그레이는 몇밀리시버트인가요
소화기내과에서 ct검사 예약이 있어서 복부ct 검사시 방사선량에 대해 여쭤보니 한번 검사시
1200~1500밀리그레이라 답변해주셔서 위 단위를 밀리 시버트로 환산할때 어느 정도의 양인지, 방사선 위해도는 어떤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우선 밀리그레이(mGy)는 방사선이 조직에 전달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반면, 밀리시버트(mSv)는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을 고려한 단위로, 같은 에너지라도 조직의 종류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조직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됩니다. 복부 CT의 경우 관통하는 방사선의 양과 해당 조직의 방사선 민감도를 고려하여, 1 mGy의 흡수선량이 1mGy는 1 mSv의 유효선량으로 계산됩니다. 즉, 1200~1500mGy의 방사선량은 복부CT 검사에서 1200~1500mSv로 환산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장기별 구체적인 가중치는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에서 제시하고 있으니 더 궁금하시면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대면 상담없이 작성된 댓글은 , 참고용으로만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론
기저 질환이 없고, 의힉적인 필요성으로 체크하는 CT / x-ray 등의
위해성은 크게 걱정하실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임신부는 예외고요)
우선 용어 정리가 필요합니다.
.
- 조사선량 - R 뢴트겐 - 방사선 조사량 - 얼마나 비가 내렸는가?
- 흡수선량 - Gy 그레이 (얼마나 물질에 흡수 되었냐. ) - 얼마나 비를 맞았는가?
- 유효선량 - Sv 시버트 (전신에는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 ) - 비맞아서 감기걸릴 확률
.
흡수선량과 유효선량은 어떤 기준에 따라 서로 수치를 도출할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시버트 기준으로 방사선의 피해량을 비교하시면 됩니다.
.
복부씨티는 대개 8~10 미리시버트가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