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

생물) 바다에 있는 야광충이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최근 한국 서해안 쪽으로 야광충이라는 것으로 인해서

바닷물에 형광색의 불빛이 일어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요.

기존에 한국에서는 없던 이야기인 것 같은데.

서해안 바닷가에 발견되는 야광충이라는 것은 어떤 종류이며,

그러한 야광충이라는 것이 서해안에 갑자기 나타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서해안에서 발견된 야광충은 녹머리애완바다포유류 또는 녹머리해조류라고도 불리는 Noctiluca scintillans이라는 종류의 해조류입니다. 이러한 해조류는 일반적으로 온난화와 영양염증에 의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녹머리애완바다포유류는 일반적으로 바닷물에 살며, 특히 조류가 많은 지역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이들은 먹이인 조류를 먹고 살다가, 밤에는 바다 수면을 불빛으로 물들이는 현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녹조, 적조와 같은 대형 조류가 일어날 때 함께 관찰될 수 있습니다.

    녹머리애완바다포유류가 최근 서해안에서 더 많이 발견된 이유는, 온난화와 영양염증으로 인한 바다의 환경 변화가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는 수온 상승과 수질 오염 등이 발생하면서 녹조 등의 대형 조류가 발생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녹머리애완바다포유류도 함께 증가하게 되어 서해안에서 자주 발견되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몸은 공 모양으로 지름이 약 2mm이다. 껍데기가 없다. 편모공(鞭毛孔)은 거대하고 입처럼 깊이 패여 있으며 1개의 굵은 촉수가 몸 밖으로 나와 원생동물이나 갑각류의 유생을 잡는 것이 특징이다. 세로 편모는 짧고 편모공 속에 있는데 가로 편모는 변형되어 판 모양이다.


    세포질 속에 여러 개의 발광성 알갱이가 있어 물리적 자극을 받으면 발광한다. 밤의 해면에서 배가 지나간 뒤 물결이나 파도의 꼭대기가 청백색으로 빛나는 것은 이 종이 있기 때문이다. 이상증식을 하면 적조의 원인이 되며 연안어업에 피해를 주는 일이 있다. 특히 초여름에서 한여름에 걸쳐 바람이 없는 내만(內灣)에서 수온이 다소 높을 경우에 이상번식(異常繁殖)을 하여 바다가 토마토주스와 같은 빛깔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