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과감한자라13
과감한자라13

미중관세전쟁으로인한 수출감소에도 EU, 중동, CIS지역으로 수출이 늘어나 만회가 되었다는데 추세가 이어질 수 있을까요?

6월 수출이 미국과 중국간의 관세전쟁으로 감소했음에도 EU, 중동, 독립국가연합 등의 지역으로 수출이 크게 증가하여 전체 수출량이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특히 대만으로의 반도체 수출이 31%증가하고 CIS 는 18.5%, 중동 14.8% 등으로 크게 증가한결과 플러스 성장을 보였는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를 이어갈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지금처럼 일부 지역으로 수출이 늘어서 전체 수출 감소를 막아낸 건 분명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처럼 특정 품목이 대만이나 CIS 중심으로 강하게 밀고 나간 점은 수출 구조가 조금씩 다변화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다만 이런 흐름이 계속될 수 있느냐는 건 조금 다른 얘기입니다. 예를 들어 중동이나 CIS는 에너지 자원 중심 산업이나 지정학적 리스크가 크게 작용하는 지역이라 외부 변수에 따라 수출 흐름이 쉽게 흔들릴 수 있습니다. EU 쪽도 경기 둔화 조짐이 있어서 마냥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지금은 일시적으로 미국과 중국 수요가 둔화되면서 틈새시장에 공급이 몰린 측면이 크고, 이게 장기적 추세로 굳어진다고 보기엔 조금 무리가 있다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은 1기떄와는 달리 중국만을 겨냥하는 것이 아닌 전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관세협상이나 미국내 직접투자 등의 전략과 함께 수출국 다변화 전략이 필수적인 상황입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는 여러가지 방면으로 노력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mk.co.kr/news/economy/11357107

    다만, 우리나라는 중국 및 미국으로의 수출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지속성적인 부분에서는 결국 미국과의 관세협상 등이 잘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