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잡지식 아인슈타인
잡지식 아인슈타인23.03.22

손발이 물속에 있으면 쭈글거리는 이유가 뭔가요?

손과 발이 물속에 오래 있거나 물에 자주 닿으면 쭈글쭈글해지는데 이렇게 되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문득 궁금해져서 질문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초기에는 삼투압의 변화로 생각되었으나 현재는 자율신경계의 불수의적 반응으로 인지하고 있습니다.

    실제 실험에 따르면 신경계에 손상을 입은 환자는 물속에서도 손이 쭈글해지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실제 쭈글해지는 이유는 피부 밑을 지나는 혈관이 수축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실험결과 물속에 있을 때 손에 주름이 생기는 이유는 젖은 물건을 쥐기 위해서라는 것도 밝혀졌습니다.


  • 손과 발이 물속에 있으면 쭈글거리는 현상은 물의 표면장력에 의한 것입니다. 표면장력은 물 분자들이 서로 간에 서로 끌리는 힘입니다. 손발이 물 위에 있을 때는 표면장력이 충분히 작아서 무시될 수 있지만, 물에 닿으면 표면장력에 의해 손발 주변의 물 분자들이 끌려 모여들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손발 주변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나면, 손발이 쭈글거리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한도리 과학전문가입니다.

    손발이 물속에 있으면 쭈글거리는 이유는 물의 밀도가 공기보다 훨씬 높기 때문입니다. 손발을 움직일 때, 물은 마찰력에 의해 손발 주위의 공간을 채우기 위해 밀려들기 시작합니다. 이때 밀려들이는 물은 다시 되돌아오지 않고 손발에 부딪쳐 반동합니다. 이 반동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면서 손발이 쭈글거리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물속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물속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이유는 밀도 차이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손발이 물속에 있을 때 쭈글거리는 현상은 수중저항과 관련이 있습니다. 물은 공기보다 약 800배 더 밀도가 높기 때문에, 수중에서는 공기 중에서 움직일 때보다 더 많은 저항을 받습니다. 이로 인해 손발을 물속에 넣었을 때, 물의 밀도와 저항으로 인해 움직이는 데 더 많은 힘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손발이 물속에서 쭈글거리는 것은 물의 저항을 이겨내기 위한 반사적인 움직임입니다. 이러한 쭈글거리는 움직임은 물속에서 더 효과적으로 수영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이러한 움직임은 물속에서 균형을 잡는 데도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수영 기술이 좋지 않거나 수중 저항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쭈글거리는 움직임이 물속에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수영을 연습하면서 적절한 기술을 습득하여 물속에서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