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젊은매미372
젊은매미372

주식회사의 대주주는 어떤기준에 의해서 생기나요?

하이브가 SM의 대주주인 이수만의 주식을 매입해서 1대 주주가 되었다는데 대주주의 기준이 무엇인가요? 대주주는 어떤 권리와 역할을 가지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대견한아비205
      대견한아비205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회사의 경영권을 지배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주식회사제도 및 주식시장이 발전하면 경영권을 요구하지 않는 소주주가 많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대주주는 50% 이하, 때로는 20% 정도의 주식보유로도 회사의 지배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주식이 분산되고 대주주의 주식보유고가 현저히 저하하면, 주주로부터 경영을 위임받은 전문 경영인이, 주식을 소유하지 않고 회사를 지배할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 이것이 이른바 ‘경영자지배’ 또는 ‘자본과 경영의 분리’라고 하는 현상이다.

      오늘날의 대기업에서 대주주는 개인보다도 법인 및 그 밖의 단체, 즉 기관주주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대주주라 함은 기관을 포함하여 주식수를 비교해보았을 때

      가장 많은 주식 수를 가지고 있는 개인이나 기관을 대주주라 합니다. 하이브는 이수만 주식을 사면서 대주주가 되었고 추가로 주식을 구매할 예정이라 밝혔는데 이로 인해 아무도 범접할 수 없는 주식수를 갖게 될 예정이라 합니다. 대주주가 되게 되면 주총이나 각종 운영에 대해서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여 사업의 방향이나 운영 등에 대해서 대주주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 수 있게 됩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투표권이 100장이 있다면 그 중 40장을 한 기관이나 개인이 가지고 있으면서 아무도 그와 비슷한 숫자가 없다면 그게 대주주가 되는 것이고 40장 만큼의 투표권한을 얻게 되는 거와 비슷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대주주는 회사 발행 주식의 상당 부분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대주주로 간주되는 구체적인 기준은 회사와 관할권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발행주식의 5%~10% 이상을 소유한 사람입니다.

      대주주는 일반적으로 소액주주보다 회사의 의사결정과 방향에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의결권이 더 많고 이사회 구성원 선출이나 인수 합병 승인과 같은 중요한 문제에 대한 주주 투표 결과를 좌우하는 데 주식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의결권 외에도 대주주는 이사회 대표를 임명하거나 이사회 후보를 지명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들은 또한 소액 주주가 사용할 수 없는 회사 관리 및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대주주의 권리와 역할은 회사 정관, 회사가 설립된 관할 지역의 법률 및 회사의 특정 소유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대주주라고하면 작년 기준

      한 종목에 10억 이상, 혹은 지분율 1% 이상 금액을 가지고 있는 자를 말합니다.

      10년전에는 100억이였는데 세금 때리기 위해서 계속해서

      30억 ,25억 이런식으로 낮췄다고 합니다.

      사실상 10억있다고 대주주라고 하기엔 기업의 의결권가지고 뭐라 하긴 좀 그렇고

      한 10% 이상 지분율이 된다하면 기업을 움직일만한 힘이 있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