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들 다 열심히하는데 혼자안하는 초딩딸 어떻게하죠?
친구들은 앞에 선생님따라 신나게 소리지르고 따라하는데 초4딸은 지혼자 꿈쩍도안하고 가만히있습니다.
그래놓고 집이나 밖에서 친구들하곤 신나게놉니다.
부끄러워죽겠는데 어떡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4학년 아이가 학교에서는 소극적이고 내성적인 모습을 보이고, 친구들과 함께 놀 때는 활발하고 즐겁게 놀 수 있다는 점에서 아이의 성격과 상황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학교에서는 여러 이유로 부끄러움이나 낯선 환경 때문에 그럴 수 있으며, 그 환경이 조금 더 익숙해지면 점차 자신감을 얻고 참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모가 아이의 내향성이나 소극적인 행동을 받아들이고, 너무 부끄럽다는 이유로 압박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는 부모가 자기 성격을 이해하고 존중해준다고 느낄 때 자신감을 갖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변화를 시도할 때 지지하고 칭찬하는 것입니다. 아이의 내향적인 성격을 이해하고, 학교에서의 소극적인 행동에 대해 너무 걱정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자신감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친구들이 활발하게 활동할 때 아이가 부끄러워하지 않고 점차 참여할 수 있도록 작은 도전과 격려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자신의 속도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점을 참조하셔서 아이를 지도해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부끄러움이많은아이
1.가정에서 스스로활동하는것을늘리기
2.칭찬늘리기
3.가정내양육환경의개방성이나 지지적인관계가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딸이 학교에서 친구들과는 다르게 반응하고 있다는 점이 걱정되시겠지만, 아이마다 다르게 행동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부분입니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 4학년 아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적응 속도와 자신감을 키워가는 시기이므로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집이나 친구들과는 자연스럽게 즐길 수 있지만, 학교에서는 아직 자신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어떤 방식으로 친구들과 어울릴지에 대한 고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왜 그렇게 행동했어?"라고 질문하기보다는, 우선 아이가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부드럽게 다가가세요. 아이가 편안한 환경에서 조금씩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도할 수 있도록, 집에서나 교실에서 소소한 도전들을 함께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집에서 간단한 역할 놀이를 하며 소리 내기나 놀이를 시도하거나, 친구들과의 활동을 지켜보면서 점차 참여하도록 격려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관심사를 학습과 연계 시켜 주세요
좋아하고 잘하는 것을 하게 되면 저절로 흥미가 생기고 더 도전적이게 됩니다.
잘하는 부분을 더욱 잘하게 해준 뒤에
부족한 부분을 메꿔주는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은 성향에 따라서 모든것을 잘 따를수도 있고 그렇게 못할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는 아이의 성향을 잘 분석해서 움직이시는게 좋겠습니다. 하기 싫은것을 억지로 시키게 되면 아이들의 거부감을 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급하지 않게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우리 아이를 위해서는 부모님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고 하니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기질에 따라서 다를수있으며 선생님따라서 안하는것만으로 보고 문제라고 볼수는없으며 사회적인 관계에서 친구들과 잘놀고한다면 크게 문제가 되는것은 없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가 소극적으로 행동할 때도 긍정적인 말을 많이 해주세요. 또 한번에 모든것을 바꾸려고 하기보다는 작은 목표를 설정해주세요. 처음에는 수업 중에 질문을 한번 해보게 유도하고 점차적으로 조금씩 참여를 늘려가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마다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학교에서 조용하고 내성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일 수 있습니다. 친구들처럼 적극저긍로 참여하지 않더라도 아이가 완전히 참여하지 않는 것이 문제는 아닐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