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쿨한상괭이75
쿨한상괭이75

무지개 색이 7가지만 보이는 이유는?

비가 온 뒤에 하늘을 보면 무지개가 이쁘게 나타납니다. 빨주노초파남보 7가지 색이 보이는데요. 전에 언뜻 듣기로는 그것보다 훨씬 더 많은 색이 있다는데 눈으로 볼때 7가지 색만 보이는 이유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무지개는 실제로 일곱 색깔은 아닙니다.

      무지개를 연구하던 뉴턴이 적절히 7개로 분류해서 이후로 계속 일곱가지로 정의된 것입니다.

      실제 무지개를 분광해보면 200가지가 훨씬 넘는 색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빨주노초파남보의 일곱가지 색은 우리 눈이 인지할 수 있는 가시광선의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빛은 파장이고 파장의 길이에 따라 색이 구분 됩니다.

      사람의 눈은 빨간색에서 보라색까지의 빛만 구분할 수 있는 성능입니다.

      가시광선이라고 부릅니다.(가능하다, 보다, 빛의 선)

      빨간색에서 보라색으로 갈수록 파장이 짧아지고

      빨간색보다 파장이 긴 경우 적외선 (붉을 적, 바깥 외)

      보라색보다 파장이 짧은 경우 자외선 (보라색 자, 바깥 외) 이라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색의 경계점이 불분명하여 각 나라마다 개수가 다르게 인식됩니다.

      무지개는 공기중의 물방울이 햇빛에 닿아서 굴절과 반사의 원리로 프리즘과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무지개는 1차 무지개 이고, 안쪽이 보라색, 바깥쪽은 붉은색으로 배열이 되어있습니다또한 2차무지개는 암무지개라고도 불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