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공학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는 고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고분자인데요 어떤 구조로 되어 있길래 이렇게 고투명성을 가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는 고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고분자인데요

어떤 구조로 되어 있길래 이렇게 고투명성을 가질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PMMA는 polymethyl methacrylate의 약자로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터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고분자입니다. 이 고분자는 주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불리며 고분자 사슬은 메틸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고투명성을 가지는 이유는 빛이 고분자 사슬을 통과할 때 메틸 그룹이 빛을 산란시키지 않고 투과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메틸 그룹은 빛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빛이 고분자 사슬을 통과할 때 색상 변화가 없어 고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PMMA는 고분자 사슬이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빛이 고분자 사슬을 통과할 때 산란이 적어 고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지 않고 모든 파장의 빛을 동일하게 투과시키기 때문에 고투명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의 중합체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CH2=C(CH3)-COOCH3]n

    PMMA는 고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요인 때문입니다.

    첫째, PMMA는 분자량이 크고, 분자 구조가 규칙적입니다. 따라서 분자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여, 빛의 산란이 적습니다.

    둘째, PMMA는 굴절률이 1.48~1.50으로, 유리와 비슷한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빛의 굴절이 적어, 투명성이 우수합니다.

    PMMA는 이러한 고투명성으로 인해, 창문, 안경, 표면재, 광학 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PMMA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고투명성: PMMA의 굴절률은 1.48~1.50으로, 유리와 비슷한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빛의 굴절이 적어, 투명성이 우수합니다.

    • 내충격성: PMMA는 높은 충격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긁힘이나 충격에 강하여, 자동차나 항공기의 창문 등에 사용됩니다.

    • 내후성: PMMA는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나 퇴색에 강합니다. 따라서 야외용 광고판이나 표지판 등에 사용됩니다.

    • 난연성: PMMA는 난연성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화재 시에도 쉽게 타지 않아, 건물의 내장재나 인테리어 소재 등에 사용됩니다.

    PMMA는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