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숭늉한사발
숭늉한사발23.04.08

전기자동차가 내연기관자동차에 밀린 이유는 무엇인가요?

전기자동차가 친환경적이라 하여 자동차시장에서 점점더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의외로 자동차의 역사에서 전기자동차가 먼저 개발된 거라고 하는데 양산과정에서 내연기관 자동차에 밀린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기자동차는 초기 개발 단계에서부터 배터리 기술의 한계와 배터리의 무게, 크기, 충전 시간 등의 문제로 인해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성능이 떨어졌습니다. 특히, 전기자동차의 주행 거리가 짧았기 때문에 장거리 운행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전기자동차의 양산과 보급에 큰 장애물이 되었습니다.

    또한, 초기에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습니다. 충전소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충전이나 교체를 위해서는 매우 제한된 장소에서만 가능했습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이 전기자동차를 구입하거나 사용하는 것에 대한 저항감이 컸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는 배터리 기술의 발전과 충전 인프라의 확대로 전기자동차의 성능과 사용성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이러한 발전으로 인해 전기자동차는 더욱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며, 높은 효율과 성능을 제공하는 선택지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인프라와 기술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빠른 시기에 개발되었는데 전기충전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실제 사용 가능한 전기차는 납축전지가 발명된 1895년 뒤에 만들수있었습니다.

    당시 전기자동차는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성능향상이 지지부진했고, 비싼 가격, 심하게 무거운 배터리, 너무 긴 충전시간, 짧은 주행거리 등의 문제가 많았고 내연기관 자동차는 대량생산체제를 통해 가격을 낮추고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우수한 성능과 항속거리를 갖추었기 때문입니다.

    가까운 거리는 전기차, 먼거리는 열차로 이동했으나 점점 더 차를 타고 먼거리를 가고싶은 욕구가 늘어나며 텍사스에서 석유가 나오면서 경제성이 생기고, 석유라는 압도적인 성능의 연료를 등에 업고 빠르게 향상되는 내연기관을 쫓아가기에는 전기전자공학이 성숙하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