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대무신왕의 생애와 업적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옛날에 있었던 대무신왕이라는 왕은 어느나라 왕인가요?

그리고 이 대무신왕의 생애와 업적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무신왕(大武神王, 4년~44년)은 고구려의 제3대 왕(재위 : 18년~44년)입니다.

    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이라고도 하지요.

    이름은 무휼(無恤)이고, 유리명왕의 셋째 아들입니다.

    대신무왕은 22년에 동부여를 공격하였고 26년에 개마국을 공격하여 영토확장을 꾀하였습니다. 37년에 낙랑국을 습격하여 멸망시켰지요. 이때 그의 아들인 호동왕자와 낙랑국의 공주인 낙랑공주와의 사랑 얘기가 오늘날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무신왕은 삼국시대 고구려 제3대(재위: 18~44) 왕이다. 대해주류왕, 대주류왕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무휼이다. 아버지는 유리왕, 어머니는 다물국왕 송양의 딸이다. 부여를 공격하여 대소왕을 죽였으며, 주변 세력에 대한 정복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여 개마국과 구다국, 낙랑국 등을 병합하였다. 또한, 우보와 좌보를 처음으로 임명하는 등 통치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힘썼다.

    태자가 되기 전인 13년(유리왕 32) 겨울 11월 부여가 쳐들어오자 적은 군사로 복병을 써서 이를 격퇴하였다. 재위 초반에도 부여와의 관계에서 여러 사건이 있었다. 21년(대무신왕 4) 부여를 공격하기 위해 출발하는 과정에서 괴유(怪由), 마로(麻盧) 등이 따르기를 청하자 이를 허락하였고, 22년(대무신왕 5) 2월에는 부여 남쪽으로 진군하여 대소왕(帶素王)을 죽였으나, 정벌에는 실패하였다. 같은 해 4월에는 부여 왕 대소의 동생이 압록곡에 와서 갈사국을 세웠고, 7월에도 부여 왕의 사촌 동생이 투항해 와 연나부에 안치하였다.

    부여와의 관계 외에도 주변 세력에 대한 정복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26년(대무신왕 9) 10월에는 압록강 상류 방면의 개마국(蓋馬國)을 정벌하여 군현으로 삼았고, 12월에는 구다국(句茶國)의 항복을 받았다. 30년(대무신왕 13) 가을 매구곡(買溝谷) 사람 상수(尙須) 등이 투항하였고, 32년(대무신왕 15)에는 호동왕자(好童王子)의 활약으로 최리의 낙랑국(樂浪國)을 멸망시켰다.

    이외에도 28년(대무신왕 11) 후한 요동군이 침입해 왔을 때에는 송옥구(松屋句)와 을두지(乙豆智) 등의 지략으로 이를 물리쳤고, 32년(대무신왕 15)에는 중국 후한(後漢)의 황제인 광무제(光武帝)주1에게 사신을 보내 왕호(王號)를 다시 인정받았다.

    한편, 건국 초기 고구려의 통치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서도 힘썼다. 25년(대무신왕 8)과 27년(대무신왕 10)에는 각각 우보(右輔)와 좌보(左輔)를 처음으로 임명하였다. 좌우보제의 성립은 계루부(桂婁部) 왕권의 성장 과정에서 기존 대보(大輔) 관직이 분화한 것으로 파악되지만, 이를 나부(那部) 사이의 공동 정치 운영 방식으로 보기도 한다.

    32년(대무신왕 15)에는 동명왕(東明王)주2의 옛 신하였던 구도(仇都) · 일구(逸苟) · 분구(焚求) 등 3인의 비류부장(沸流部長)주3을 서인(庶人)으로 삼으며 탐학주4한 대신들을 축출하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무신왕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무신왕은 삼국시대 고구려 제 3대 왕으로 대해주류왕, 대주류왕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무휼 입니다.

    아버지는 유리왕, 어머니는 다물국왕 송양의 딸이며 부여를 공격해 대소왕을 죽이고 주변 세력에 대한 정복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여 개마국과 구다국, 낙랑국 등을 병합하였고 우보와 좌보를 처음으로 임명하는 등 통치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힘썼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구려의 제3대 군주. 고구려 초기의 팽창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왕으로 유명합니다. 고구려에서 태어난 첫 번째 왕이기도 합니다. 재위 5년에는 부여를 정복하고 9년에는 개마국(蓋馬國)을 정벌하고, 구다국(句茶國)의 항복을 받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개토왕비’에는 초기 세 왕의 왕명을 추모왕(鄒牟王)⋅유류왕(儒留王)⋅대주류왕(大留王)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들 왕호를 5세기 대의 공식적인 왕명으로 볼 수 있겠는데,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에는 이들 세 왕을 동명성왕(東明聖王)⋅유리명왕(琉璃明王)⋅대무신왕(大武神王)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이들 세 왕의 왕명은 언제 바뀐 것일까?

    일단 ‘광개토왕비’에 나오는 추모(鄒牟)와 유류(孺留)는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에 의하면 각각 왕의 이름입니다. 즉 5세기 대의 왕호는 왕의 이름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그러나 대무신왕의 이름은 무휼(無恤)로 전하기 때문에, 주류왕(朱留王)이라는 왕호는 이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다만 삼국유사 왕력에는 ‘미류(味留)’라는 이름이 전하는데, 이는 ‘주류왕(朱留王)’이라는 왕호의 착오일 수도 있지만, ‘주류(朱留)’가 또 다른 이름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더욱이 앞의 추모왕과 유류왕의 경우 생시의 이름이 왕호로 사용되었음을 보면, 이 두 왕과 함께 건국 초기의 위대한 왕으로 인식된 주류왕이라는 왕호도 이름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면 ‘광개토왕비’에 전하는 왕호와는 다른 「본기」에 전하는 동명성왕⋅유리명왕⋅대무신왕이라는 왕호는 언제 정해진 것일까? 일단 추모왕, 추모성왕으로 기록된 ‘광개토왕비’와 ’모두루 묘지’가 작성된 시점 이후일 터이기에, 대략 평양 천도 이후가 될 것입니다. 그런데 동명성왕의 경우를 보면, 고구려 말기까지도 외국에 추모왕 주몽으로 전해지던 예가 많습니다. 그러나 현전하는 고구려의 동명왕 전승 자료가 없다고 해서 고구려 당대에 동명성왕(東明聖王)으로 칭해졌을 가능성을 부인하기는 어렵습니다. 더욱 동명이 전 부여족의 시조로서 추숭되고 있기 때문에, 부여의 정통성을 계승하였다고 자부하는 고구려로서는 시조 추모왕의 왕호를 동명왕(東明王)으로 개칭하였을 가능성을 충분히 상정할 수 있습니다.

    유리명왕과 유류왕의 경우에는 같은 발음이지만 다른 글자로 씌어진 왕호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리(琉璃)’가 불교 용어라는 점을 염두에 두면, 이 역시 의도적으로 왕호를 바꾸었을 개연성도 부정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대무신왕이라는 왕호는 대주류왕과는 그 어떤 연관성도 찾기 어렵지만, 대무신왕의 ‘무(武)’라는 한자식 표현을 대무신왕의 업적으로 찬양되는 부여 정벌과 관련해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왕의 특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왕호를 바꾸었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따라서 동명성왕⋅유리명왕⋅대무신왕은 의도적인 추숭 과정에서 5세기의 왕호와는 다른 별도의 왕호로 불리게 되었음을 추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동명성왕⋅유리명왕⋅대무신왕 이렇게 세 왕호에만 다른 왕과는 달리 ‘성왕⋅명왕⋅신왕’이라는 미칭이 추가된 점도 눈길을 끕니다. 동명성왕의 ‘성왕’이라는 표현을 보자면, ’모두루 묘지’에서 ‘추모성왕’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두루 묘지’에는 고국원왕도 ‘국강상성태왕’, 광개토왕도 ‘국강상대개토지호태성왕’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왕’이라는 표현은 ‘광개토왕비’나 호우총 출토 호우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장수왕 초년에는 사용하지 않다가 어느 시기엔가 이러한 미칭을 사용하면서 ’모두루 묘지’에도 이러한 표현이 나타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모두루 묘지’ 추모성왕의 예에서 보듯이, 장수왕 대에는 여전히 동명성왕이 아닌 추모성왕으로 표현되었던 것입니다.

    따라서 동명성왕⋅유리명왕⋅대무신왕이라는 왕호의 사용은 보다 후대의 일일 터이고, 이러한 왕호에서 간취되듯이 세 왕에 대한 추숭이 더 한층 강화되던 시기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부여와의 관계 외에도 주변 세력에 대한 정복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26년(대무신왕 9) 10월에는 압록강 상류 방면의 개마국(蓋馬國)을 정벌하여 군현으로 삼았고, 12월에는 구다국(句茶國)의 항복을 받았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