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회로이론 페이저에 대해 질문드려요!

순시값을 페이저로 변환하여 덧셈 or 뺄셈을 하고 다시 순시값으로 변환하면

기존의 순시값을 덧셈 or 뺄셈을 한 결과와 같아져서 덧셈과 뺄셈에 대해서는 페이저변환이 유효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순시값을 페이저로 변환하여 곱셈 or 나눗셈을 하고 다시 순시값으로 변환하면

기존의 순시값을 곱셈 or 나눗셈을 한 결과와 다르게 나오는 것 같은데 이렇게 되면

곱셈과 나눗셈에 대해서는 페이저변환이 유효하지 않은 것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철승 전문가
      김철승 전문가
      LG전자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순시값을 페이저로 변환하여 덧셈 또는 뺄셈을 한 후

      다시 순시값으로 변환하면 기존 순시값의 덧셈 또는 뺄셈 결과와 동일합니다. 덧셈과 뺄셈에 대해 페이저 변환이 유효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순시값을 페이저로 변환하여 곱셈 또

      는 나눗셈을 하고 다시 순시값으로 변환하면 기존 순시값의 곱셈 또는

      나눗셈 결과와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는 곱셈과 나눗셈에 대해 페이저 변환이 유효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페이저 변환은 순시값을 다른 표현 방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덧셈과 뺄셈은 순시값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연산이지만

      곱셈과 나눗셈은 순시값의 비율을 나타내는 연산입니다.

      페이저 변환을 통해 곱셈 또는 나눗셈을 수행하면 순시값의 비율이 변하게 되고 이는 원래 순시값의 곱셈 또는 나눗셈 결과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입니다.

      순시값 10을 페이저 변환하여 2로 변환하고 페이저 변환된 값 2에 3을 곱한 후 다시 순시값으로 변환하면 결과는 6이 됩니다. 이는 원래 순시값 10에 3을 곱한 결과 30과 다릅니다.

      곱셈과 나눗셈을 수행할 때는 페이저 변환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페이저 변환은 덧셈과 뺄셈에만 유효한 연산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