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2.23

하지정맥류를 없애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나이
30
성별
여성

다리 쪽에 하지정맥류로 보이는 것들이 있는데요.

이걸 방치하게 되면, 혈관들이 튀어나온다고 들었는데요.

이걸 없애래면,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하지 정맥류는 하지 정맥의 판막 기능 장애로 인해 혈액이 역류하고 이로 인해 과다한 혈액이 저류됨으로서 인해 하지의 표재 정맥이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꼬불꼬불해져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질환입니다.

    하지 정맥류는 늘 위험한 것은 아니지만 최초에는 정확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의사를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 해당 하지정맥류에서 출혈, 색깔 변화, 통증, 열감, 부종등이 보인다면 내원하시어 진료를 보시는 것이 좋고 수술적 제거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하지정맥류를 현실적으로 수술적 치료 없이 제거하는 것은 어렵지만, 그것에 대한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습관을 길러 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 규칙적인 다리 운동을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2. 체중 감량을 통해 정맥혈이 저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3. 낮은 굽의 신발을 신어 다리 근육을 더 운동하게 한다.

    4. 종종 다리를 더 높게 들어 다리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한다.

    5. 장시간 앉아있거나 서 있는 행동을 피한다.

    6. 다리가 압박이 되는 스타킹 등을 활용한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하지정맥류는 레이저를 통한 시술을 많이 합니다. 시술이 필요한 정도가 아닌 경우 압박스타킹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현재 정확한 상태 확인을 위해서 하지정맥류를 진료하는 흉부외과에 내원해 볼 것을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하지 정맥류의 경우 생활 습관 변경, 압박 스타킹 착용 등의 보존적 치료를 먼저 시행하여 경과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오래 앉아 있거나 오래 서 있는 경우 하지 정맥 내 혈액 정체로 증상이 악화될수 있으므로 피해야합니다. 휴식 시 하지를 심장보다 높게 올리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압박 스타킹은 휴식시 장딴지 근육 펌프의 기능을 대신 하여 하지 정맥 내 혈액 순환에 도움이 됩니다. 필요하다면 수술을 통한 절제, 주사 경화 치료, 고주파나 레이저를 이용한 정맥 내 폐쇄술을 시행할수 있습니다. 흉부외과나 하지정맥류를 시행하는 외과계열 병원에서 진료를 보시면 되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3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하지정맥류 때문에 고생이시군요.

    하지정맥류는 하지의 표재 정맥이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꼬불꼬불해져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질환입니다. 하지 정맥의 판막 기능 장애로 인해 혈액이 역류하게 되어 발생하게 됩니다. 초기에는 외관 상의 문제 외에 별다른 불편감이 나타나지 않지만, 이 증상이 점차 진행되면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하지 정맥류 환자들이 반드시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생활 습관의 변경, 압박 스타킹 착용 등의 보존적인 치료를 통하여 증상 악화 방지와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 정맥류로 인한 다양한 증상들은 오랜 시간 앉아 있거나 오래 서 있는 경우 하지 정맥 내 혈액 정체로 증상 악화가 초래될 수 있으므로 이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휴식 혹은 취침 시에는 하지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 줌으로써 하지 정맥 내 혈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20~30mmHg 정도 압력의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는 것은 휴식 시 압박 스타킹이 장딴지 근육 펌프의 기능을 대신해 줄 수 있으므로 하지 정맥 내 혈액 순환에 도움이 됩니다. 이 밖에 하지 정맥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는 약제의 복용도 보존적인 치료의 한 방법입니다.

    미용적인 목적 혹은 정맥 부전으로 인한 증상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통적인 수술을 통한 절제술, 주사 경화 치료, 최근에 개발된 고주파를 이용한 정맥 내 폐쇄술 혹은 레이저를 이용한 정맥 내 폐쇄술 등이 시행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더욱 좋은 답변들이 순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