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료제가 언제 개발될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
긴 임상실험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주지해야 할 점은 치료제를 개발하더라도, 우리 삶은 크게 변하지 않을 거라는 사실입니다.
곧 '위드코로나 (With Corona)' 체제가 적용될 겁니다.
이미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위드 코로나 체제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자에 한해서는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습니다.
모든 변이를 막아줄 백신이 나오는 걸 기대하는 것 보다는, 독감과 같은 매년 접종으로 집단 면역을 획득하는 게 현실적으로 합당한 계획입니다.
백신과 치료제가 모두 개발이 되어 있는 '독감 (인플루엔자)'과 비교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파력은 독감보다 높습니다.
이 말은 인류의 의학기술로 최선을 다 하더라도, 독감 이상으로는 전파를 차단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즉, 코로나가 Polio와 같이 지구상에서 깔끔하게 사라지는 일은 불가능합니다.
이제부터는 독감처럼 같이 살아가는 바이러스가 될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이 점을 빨리 받아들이시는 게 정신 건강에 유익합니다.
이로 인해서 자연스럽게, 생활 양식이 사람간의 접촉을 줄이는 방향으로 많이 바뀔 겁니다.
백신을 정기적으로 맞고, 사람이 많은 실내에서는 마스크 착용, 그리고 야외에서는 사회적 거리 유지가 기본 생활 양식입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과거 전염병에 비추어보았을 때, 특히 바이러스성 질환은 생각보다 종식되는데 오랜 기간이 걸립니다. 현재도 문제가 되고 있는 변이 바이러스가 시간이 지나면서 그 빈도가 빨라지거나 많아질 수 있습니다.
결국에는 앞으로 몇년 길게는 10년 이상 이러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아마 독감이나 인플루엔자 그리고 감기처럼 평생 같이 가야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치료제 개발이 시급합니다. 가장 빠른 치료제가 내년 상반기에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