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3.12.05

암행어사의 기원은 언제부터인지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에 암행어사가 있었다는 사실은 알고 있는데요 언제부터 암행어사가 있었는지 아시는분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0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암행어사의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조선시대에 왕의 특명을 받고 지방군현에 비밀리에 파견되어 위장된 복장으로 암행을 했던 왕의 특명사신을 암행어사라고 합니다. 암행어사가 일반어사와 달랐던 점은 일반어사는 이조에서 임명했고, 그 거동이 공개적이었던 것에 비해서, 암행어사는 왕이 친히 임명했으며, 그 임명과 행동을 비밀에 부쳤다는 점입니다.

    중종실록 1509년(중종 4)에 '4월 암행어사를 각 도에 보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암행어사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중종 4년 1509년으로 이때부터 본격적인 암행어사 제도가 시행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사헌부 관원이 아닌 어사가 지방관 감찰을 위해 파견되기 시작한 것은 성종대였다고 합니다. 성종은 1489년(성종 20) 11월에 경기·경상·전라·충청·영안(永安)·강원 등 6개 도에 어사를 파견하여 민간의 병폐를 조사·보고하도록 했고 어사들이 지방에서 조사할 사안들을 정리한 사목(事目)이 마련되었는데, 그 내용에는 환곡(還穀) 수납의 부정 여부, 공물(貢物)의 공정한 배정, 관아의 말[馬]과 노비(奴婢) 수효, 사행(私行) 접대와 도적 발생, 부역(賦役)과 학교 교육, 아전의 농간 여부, 일체의 불법과 민간의 폐해, 송사(訟事) 처결 건수 등이 그 업무 라고 정의 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암행어사란 용어가 처음 보이는 것은 중종 4년(1509)으로, 이때부터 본격적인 암행어사 제도가 시행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