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페퍼민트
페퍼민트

웨스턴블롯 시 겔에서 membrane으로 transfer되는 원리는?

웨스턴블롯 시 SDS-PAGE gel에서 PVDF membrane으로 단백질이 transfer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고혹적인가마우지34
    고혹적인가마우지34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는 단백질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이며,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막은 전기적인 전달을 통해 단백질들을 SDS-PAGE gel에서 PVDF 막으로 옮기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전기영동 전달" 또는 "전기블로팅(Electroblotting)"이라고도 합니다.

    전기영동 전달의 원리:

    1. SDS-PAGE 분리: 먼저, SDS-PAGE gel 내에서 단백질들은 전기영동에 의해 SDS(소듐 도데실설페이트)와 함께 분리됩니다. SDS는 단백질의 전기적인 불균등성을 해소하여 모든 단백질을 음전하게 만들어줍니다.

    2. 영동 기질(PVDF 막)에 전기적인 전달: 분리된 단백질들은 PVDF 막으로 전기적인 전달 과정을 통해 옮겨집니다. PVDF 막은 양전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전하로 전기적으로 영향을 받은 단백질들이 막으로 향하게 됩니다.

    3. Transfer Buffer: Transfer 전달을 위해 특별한 Transfer Buffer라는 용액이 사용됩니다. Transfer Buffer는 이온을 함유하여 전기전달에 필요한 전기전달의 매개체로 작용하며, 단백질들이 PVDF 막으로 옮겨지도록 도와줍니다.

    4. 전기장: 전기전달 과정에서는 전기장을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충분한 힘을 제공합니다. 이렇게 전기장이 형성되면, 단백질들은 SDS-PAGE gel 내에서의 전기영동과 PVDF 막으로의 전기전달을 통해 전기적으로 PVDF 막으로 옮겨지게 됩니다.

    5. 흑연극으로 결합: 단백질들이 PVDF 막으로 전기전달 된 후에는 PVDF 막 상에 단백질들이 잘 결합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흑연극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단백질들을 막에 고정시킵니다.

    이렇게 전기영동 전달 과정을 통해 PVDF 막에 단백질이 옮겨지면, 이후 Western blotting 분석 등을 통해 특정 단백질의 존재와 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