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SDS같은 계면활성제가 세포막을 분해하는 원리는?
SDS와 같은 계면활성제는 양쪽성 물질이며 인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된 세포막을 파괴할 수 있다고 하던데 그 원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양쪽성 물질은 분자 내에서 수소가 양성자로부터 분리되어 양이온과 음이온 부분이 존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SDS는 물과 상호작용하는 물질로서 주로 수용액에서 사용됩니다.
세포막은 인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방으로 된 극성이 없는 부분과 물과 상호작용하는 극성이 있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SDS와 같은 계면활성제는 이러한 세포막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데, 물과 극성을 가진 부분이 세포막의 지방층을 침투하면서 이중층을 파괴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습니다.
SDS는 지방층 내부로 침투하면 지방층을 분해하고 세포막의 구조를 파괴하게됩니다. 이러한 기작으로 인해 세포막이 손상을 입게 되며, 세포 내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는 세포의 기능을 방해하거나 세포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속성을통해 SDS와 같은 계면활성제가 세포를 우회적으로 파괴하는 일부 생물학적 연구에 이용되게 되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