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빈맥이라는데 죽을수도있나요??
최근 2 3개월간 심장이 이상해서 갔더니
24시 홀터검사에서 심실성 빈맥이 6회 잡혔다고 하셨어요. 버튼을 누른곳과 정확히 일치하게.
근데 찾아보니 구조적 문제 없는 심실빈맥은 급사까진 아니고 약만 잘 먹음 된다던데.
제가 운동부하,혈액,소변,심장초음파에서는 다 괜찮다고 하셨거든요
그리고 실신할수있으니 조심하라는 말을 하셨는데
그럼 전 급사의 위험과는 좀 먼건가요?
참고로 심장의 불규칙성이 진짜 심하다가 줄어드는 추세에 24시홀터를 했고 지금은 조금 덜하는 느낌은 들어요 약은 먹기전이구여
나이도 어린편이라 심란해서 글써봅니다ㅠㅠ
치료가 가능한 질환 입니다.
심실 빈맥은 심실에서 전기적 이상이 발생하여 심장이 병적으로 빠르게 뛰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정상적인 심실 박동은 분당 70~80회인데, 심실 빈맥의 경우 분당 120회 이상으로 증가하여 충분한 혈액을 몸 전체에 공급할 수 없습니다. 심실 빈맥의 원인은 심근경색, 심근염, 심근병증, 심장 판막 질환, 산혈증,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과 같은 심실의 구조적 장애에서 비롯될 수 있으며, 때로는 심장 구조에 이상이 없는 젊은 사람에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실 빈맥의 증상으로는 가슴 두근거림, 호흡 곤란, 실신 등이 있으며, 드물게 심실 세동으로 진행하면 위험할수 있습니다. 심한 증상이 나타나면 심장에 전기 쇼크를 주어 빈맥을 즉시 멈추거나 항부정맥 약물을 정맥으로 투여하여 급성기 빈맥을 치료합니다. 재발 방지를 위해 약물 치료, 도관을 이용한 절제술, 수술 등이 시행됩니다.
약물 치료는 지속적으로 항부정맥약을 복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지만, 도관을 이용한 절제술이나 수술은 성공적일 경우 평생 약을 복용하지 않아도 완쾌할 수 있습니다. 도관을 이용한 절제술은 심장 내 전극 도자를 넣어 빈맥의 원인 부위를 찾아 고주파 전류를 흘려 열을 발생시켜 제거하는 방법으로, 전문 심장센터에서만 시행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젊고 심장에 구조적 이상이 없는 경우 예후가 양호하며, 약물 치료나 전극 도자 절제술로 완치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