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태봉골도사
태봉골도사

독감 백신 접종으로 인한 사망자가 나왔는데 접종을 해야 하나요?

연일 언론에서 독감예방접종 사망자와 관련하여 기사가 올라오고 있는데요,

코로나때문에 올해는 무조건 독감접종을 하라고 하는데 주위에서는 사망염려로

인하여 꺼려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독감접종을 피해야 하는 경우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독감주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예방주사) 는 매년마다 합니다.
    독감주사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 (항체 형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매년 독감 예방접종을 시행하기 때문에 독감 바이러스는 변이가 잘 되는 RNA형 바이러스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RNA형에 속하는 독감 바이러스는 유전자 변형이 계속 일어나 종류가 200개가 넘고, 매년 유행하는 독감 바이러스도 조금씩 달라 백신에 들어있는 항원도 매년 바뀌게 됩니다.
    독감 예방접종 이후에 독감에 걸리더라도 증상을 경미하게 앓고 지나가게 됩니다.
    요즘 독감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만 아직까지 부작용과 독감 접종간의 명확한 인과관계가 밝혀지진 않은 상태입니다. 인과관계가 밝혀지고 안전성이 확보되면 접종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독감 예방 접종으로 인해 여러 뉴스가 나오다 보니 걱정을 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질병관리청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예방 접종과 사망 사례는 관련성이 떨어진다고 하였기 때문에, 안심하시고 예방접종을 하셔도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예방 접종 후에는 30분 정도 기다리셨다가 이상 반응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꼭 확인하고 귀가 하시면 특별한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만약 접종 당일에 열이 나거나 몸이 좋지 않다면 접종을 미루시면 됩니다. 그 외에는 특별히 피해야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예전에 독감 예방 접종을 하고 부작용이 심하게 있었던 경우나 계란 알레르기가 있었던 경우에는 의료진과 상의 후 접종 여부를 결정하시는 것이 필요하구요.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