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프닝하고 플래티닝은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금리에 관련된 기사를 보다 보닌깐 스티프닝하고 플래티닝이라는 말이 나오던데요. 스티프닝하고 플래티닝은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티프닝과 같은 경우에는 그래프를 보았을 때, 가팔라지는 것을 말하며
플래트닝과 같은 경우 그래프를 보았을 때, 평평한 것을 말하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예를 들어서 베어 스티프닝 - 채권가격하락이 도출되며 불 스티프닝 - 채권가격상승이 도출되며
베어 플래티닝 - 채권가격 하락이 도출, 불 플래티닝 - 채권가격 상승이 도출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티프닝(Steepening)과 플래티닝(Flattening)은 채권 시장에서 이자율 곡선의 모양을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스티프닝은 이자율 곡선이 더 가팔라지는 현상을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장단기 이자율 차이가 확대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장기물의 이자율이 상승하거나 단기물의 이자율이 하락할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플래티닝은 이자율 곡선이 평평해지는 현상을 가리키며, 장단기 이자율 차이가 축소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장기물의 이자율이 하락하거나 단기물의 이자율이 상승할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채권금리 스프레드를 말하는데요 3년물 금리가 3.00 이고 10년물이 3.10 프로라고 가정하고
-3년물이 3.00->3.05 (+5)10년물이 3.10ㅡ>3.20(+10) 이렇게 스프레드(+5)가 벌어지면 스티프닝
-3년물이 3.00->3.05 (+5)10년물이 3.10ㅡ>3.10(+0) 이렇게 스프레드(-5) 가 벌어지면 플레트닝 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단기금리가 빠르게 상승하고, 장기금리도 함께 상승하는 현상을 말하며, 통상적으로, 불스티프닝은 경제사이클의 후퇴국면에서 나타나며 경기 둔화와 인플레이션 완화의 신호로 해석됩니다. 반면에 장기채 금리가 단기채 금리보다 더 빨리 오르는 현상인 베어 스티프닝은 경제사이클의 확장국면에서 나타납니다.
스티프닝(stiffening)과 플래티닝(flattening)은 금리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으로, 채권 시장에서 수익률 곡선의 변화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스티프닝(steepening)은 수익률 곡선이 더 가파르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수익률 곡선은 만기별로 채권의 수익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인데, 스티프닝이 발생할 때는 단기 채권의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낮고 장기 채권의 수익률이 더 높아져서 수익률 곡선의 경사가 급격해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경제 성장 기대감이 높거나 금리 인상이 예상될 때 주로 발생합니다. 즉, 장기 금리가 단기 금리보다 더 많이 상승할 때 수익률 곡선이 스티프닝됩니다.
반면, 플래티닝(flattening)은 수익률 곡선이 평평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경우, 단기 채권의 수익률과 장기 채권의 수익률 간의 차이가 줄어들어 수익률 곡선이 평평해지거나 심지어 역전될 수 있습니다. 플래티닝은 경제 성장 둔화나 금리 인하 기대감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장기 금리가 단기 금리보다 적게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수익률 곡선이 플래티닝됩니다.
이 두 가지 현상은 금융 시장의 동향과 경제 전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며, 투자자와 경제 전문가들이 시장 상황을 분석할 때 참고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안녕하세요.
스티프닝이란 채권시장에서 수익률 곡선이 가팔라지는 현상을 말하며 플래트닝은 반대로 수익률 곡선이 평평해지는 현상을 가리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