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구름의 색은 왜 흰색과 검은색으로 나타나나요?

같은 날씨에도 두가지 색의 구름이

하늘에 동시에 나타나기도 하던데요.

검은 구름이라해서 단지 수증기가 많다고

생기는 건 아니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름드리
      아름드리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흰색인 이유는 산란효과 때문인데요 구름이 햇빛을 사방으로 흩뿌리는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구름이 더 두꺼워지고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체로 더 빽빽하게 채워질 때는 회색이나 검은색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이 경우에 구름은 더 많은 햇빛을 흡수하게 되고 더 어두워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두께가 얇을 때는 빛의 산란과 흡수되는 빛의 양이 적기 때문에 하얗게 보이지만, 구름이 두꺼울수록 물방울이 더 많아서 빛의 산란과 흡수가 더 많이 되면서 빛이 감쇠가 되어 구름의 아랫부분은 햇빛이 닿지 않아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