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건물마다 피뢰침이 있을까?
요즘 어디에나 있는 아파트나 주택 옥상을 보면 하나씩 다 있는 피뢰침 무엇인지는 몰랐지만 뾰족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왜 있는걸까?
영국의 벤저민프렝크린이 연으로 실험하면서 번개가 높은 곳에 먼저 떨어지며 그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고
발명했다.
피뢰침에 번개가 떨어지면 피뢰침과 연결된 선에 의해 지상으로 전기가 분산되어 건물에 피해가 줄어드는 원리로 작동한다.
건물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건물 기초에 설치된 접지 전극에 피뢰침을 연결하여 벼락을 지상으로 흘려보내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한 마디로 말해서 번개를 대신 맞아주는 것. 번개로부터 피뢰침이 보호하는 범위는 피뢰침의 성능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는 피뢰침을 기준으로 45도 각도의 피뢰침의 높이가 높을 수록 보호 범위도 더 넓어진다.
피뢰침이 뾰족한 것은 전기의 특성 때문이다. 예컨대 반지름이 서로 다른 두 금속 구체를 전선으로 연결하여 대전시키면반지름이 작은 구체가 면전하밀도가 더 크도록 전하가 배분된다.
이렇게 해야 표면의 전위가 같아지기 때문이다.(전위가 같으면 더이상 전하가 이동하지 않는 평형상태가 된다.)
같은 이유로, 도체 표면에서는 곡률반경이 작은 표면, 곧 뾰족한 표면에 전하가 집중된다.
피뢰침은 낙뢰를 끌어들이는 것이 목적이므로 지면이 대전될 때 더 많은 전하가 피뢰침 끝에 집중되도록 끝을 뾰족하게
만드는 것이다. "끝"
피뢰침은 번개를 막아주는역할을 합니다
번개는 꽤나 위험하기때문에 주변에 떨어지지않도록 피뢰침을 설치하죠
뾰족한 모양도있고 우주선같은 모양도 있고 고슴도치같은 모양도 있습니다
건물 옥상 설치 지점을 기준으로 삼각형 원뿔같은 구간은 방호 구역이라고해서 번개로부터 안전합니다
보이지않는 쉴드 같은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