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잽싼 달팽이
잽싼 달팽이

교류가 직류보다 감전이 더 잘되나요?

교류가 직류보다 위험하다 직류를 감전되지 않는다. 교류는 캐패시터 통과하는것처럼? 인체또한 캐패시터역할을 해서 전류가 흐를수 있다. 이런말이 있던데 교류가 직류보다 감전되기 더 쉽다는건가요. 아니면 직류는 +선만 잡으면 감전되지않지만 교류는 h선 하나만 잡아도 감전된다는 의미인가요? 인체저항은 교류에서도 동일할텐데 교류가 감전되기 쉬운것이 맞는지 맞다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교류와 직류 모두 감전에 위험하지만, 일반적으로 교류가 더 위험하다고 평가됩니다. 교류 전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극성이 바뀌기 때문에 인체를 통해 전류가 더 쉽게 흐를 수 있습니다. 인체는 교류에 대해 더 높은 리액턴스를 끼칠 수 있지만 여전히 교류 전류가 인체에 흐르는 것을 막지 못합니다. 또한, 교류는 심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주파수가 있기 때문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교류에서 한 선만 잡아도 쉽게 감전될 수 있는 이유는 교류 시스템에서는 대지전위를 기준으로 한 선만 잡아도 회로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반해 직류의 경우 양전극과 음전극 모두 접촉해야 회로가 형성되어 감전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 안전을 위해 모든 전류원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교류(AC)와 직류(DC) 중에서 어떤 것이 더 위험한지에 대한 질문은 자주 받는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교류가 감전 위험이 더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유는 주파수의 영향을 받기 때문인데, 인체는 특정 범위의 교류 주파수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또한, 교류는 방향을 지속적으로 바꾸기 때문에, 인체의 저항과 관계없이 전류가 흐르기 쉽습니다. 이에 비해, 직류는 고정된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같은 전압 하에서는 인체가 교류보다 덜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교류의 경우 핫선(hot line) 하나만 잡아도 위험하며, 인체가 회로의 일부분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각 경우의 전기적 조건도 중요하므로, 항상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교류가 직류보다 감전 위험이 높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직류는 감전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교류는 근육을 더 강하게 수축시켜 감전 시 몸을 떨게 하고 전선에서 떨어지지 못하게 만들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근육 마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교류는 심장 박동 리듬을 방해하는 심실 세동을 유발할 위험이 높아, 심장 정지와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교류가 직류에 비해 감전시 위험할 뿐이지 감전이 더 잘되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는 교류전류가 직류전류보다는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같은 전압조건 하에서 교류가 직류보다 더 많은 전류가 몸에 흐르게 되며, 보통 사고 발생시 교류의 경우 30 mA 이상의 전류, 직류의 경우는 200 mA의 전류가 신체에 인가될 때 심장이 불규칙적으로 박동하여,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