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배지에 항생제를 넣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미생물배지를 만들때 또는 배양을할때 배지의 양에
맞게 항생제를 첨가하던데 항생제를
첨가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이해하기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미생물배지에 항생제를 넣는 이유는,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만 특정하여 배양하기 위해서입니다.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이 특정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다면 항생제를 처리해도 죽지 않고,
항생제 내성이 없는 다른 미생물들은 죽기 때문에,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만을 배양할 수 있습니다.
실험실 환경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들 중 일부는 배지에 의도치 않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미생물 배지에 항생제를 첨가하는 이유는 원하는 미생물만을 선택적으로 배양하고 원치 않는 박테리아나 균류 등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제 답변이 짙푸른보석새님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미생물 배지에 항생제를 첨가하는 주된 이유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미생물 배양 과정에서 원치 않는 다른 미생물의 오염이 발생하면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거나 부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항생제를 배지에 넣으면 배양하고자 하는 특정 미생물 외의 다른 미생물들이 자랄 수 없게 되어 오염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다만 배양 대상 미생물이 그 항생제에 내성이 있어야 하며, 항생제의 종류와 농도를 적절히 조절해야 원하는 미생물만 선택적으로 배양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항생제를 활용하면 미생물 배양 실험의 신뢰성과 재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첫째, 미생물 특히 특정 세포를 번식하여 세균주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그외 균들, 박테리아 또는 효모에 의한 오염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사전 예방차원에서 키우고자 하는 미생물 외 영향을 주는 항생제를 소량 사용합니다.
항생제의 종류에 따라 표적 세균주는 달라질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사용합니다.
둘째, 목적에 따라 일부러 노출시켜 내성을 가진 세균주로 만들기도 합니다.
세번째, 세균의 유전자재조합을 수행하였을때 적절하게 재조합이 완료되었는지 검증할때 항생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특정항생제에서 자라지 못하는 균에다가 저항성유전자를 삽입후 배지에서 번식시키면 죽지않고 살아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항생제를 미생물 배지에 첨가하는 주된 이유는 선택배지를 만들기 위함입니다.
선택배지는 특정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하고, 다른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미생물이 암피실린이나 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특정 항생제에 내성이 있다면, 해당 항생제를 배지에 추가하여 내성이 없는 다른 세포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즉, 항생제는 내성을 가진 미생물만을 선택적으로 증식시키고, 원하지 않는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막기 위해 배지에 첨가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미생물을 순수하게 배양하거나, 미생물의 항생제 내성 여부를 실험할 수 있는 것이죠.
미생물 배지에 항생제를 넣는 이유는 2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흔히 진핵생물의 세포를 배양할 때에는 DMEM, MEM, RPMI1640등의 medium, FBS를 배합해서 사용하는데요 이러한 배지는 영양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세균 등의 다른 미생물이 의해 쉽게 오염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페니실린과 스트렙토마이신과 같은 항생제를 넣어주어 배지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두번째로 대장균 등을 형질전환하고 나서 이를 배양한다고 했을 때, 형질전환이 잘 되었는지의 유무를 항생제 선별 배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형질전환이 된 대장균만 가지는 항생제를 배지에 넣어주게 되면, 배지 상에 자란 colony는 형질전환에 성공한 대장균이며, 형질전환에 실패한 대장균은 자랄 수 없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