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클래식한태양새227
클래식한태양새22723.05.08

조선시대에는 불이 나면 진압을 하는 기관이있었나요?

조선시대에는 불이 나면 화재를 진압 하는 소방서기능을 하는 기관이 존재했었나요? 지금처럼 바로 불을 끌 소방차가 올수 있는것도 아닌데 불이나면 어떻게 화재진압을 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8

    안녕하세요. 엄재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멸화군이 있었습니다

    이름 그대로 불을 없애는 군인이고 화재와 관련된 모든 것들을 책임지고 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불을 끄는 것 외에도 화재 예방을 위한 활동도 했다고 합니다

    화재가 난 것을 발견하면 종을 쳐서 화재가 났음을 알리고 종소리를 들은 멸화군들은 지급받은 물품인 도끼, 쇠갈고리와 함께 보자기, 물에 적신 천을 매달아 놓을 장대인 멸화자를 가지고 화재 장소로 출동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426년 2월 26일, 세종대왕은 방화업무 담당 관청인 ‘금화도감(禁火都監)’을 설치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화재가 일어나자 1431년 5월, 최초의 소방대라고 할 수 있는 금화군(禁火軍)이 만들어졌고 세조 때인 1467년 12월 20일, 멸화군(滅火軍)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출처:키즈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