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냉철한메뚜기235
냉철한메뚜기235

왜 일정한 코인들은 바로 상승을 하자마자 오히려 다음날 많이 상승한 분을 반납하거나 혹은 더 저점으로 가는 것일까요?

가끔 투자를 하다가 다음과 같은 의문이 듭니다.

왜 일정한 코인들은 바로 상승을 하자마자 오히려 다음날 많이 상승한 분을 반납하거나 혹은 더 저점으로 가는 것일까요?

이러한 것은 주식도 비슷한 게 많은데요!

전문가님들의 이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이 급격히 상승한 후 다음날 조정되는 이유는 단기 차익실현 매물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기술적 저항선 근처에서는 자동매도가 작동해 가격이 조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그 이유는 코인중 대부분의 알트코인은 내재가치가 없는 코인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 코인이라는 것이 어떤 분야에서 활용이 되거나 미래의 어떤 기술로 활용이 되어야만

      가치가 있습니다

    • 그러나 일부 코인은 밈코인이라 불리우며 단순히 수급에 의해서만 움직이는 코인들이 있고

      이 때문에 급등 후에 급락이 나타나곤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이런 패턴은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랑 연결돼 있습니다. 단기 급등이 나오면 차익 실현 매물이 바로 쏟아지거든요. 그래서 상승분을 그대로 지켜내기보다는 일부 반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식에서도 흔히 보이는 흐름으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모든 종목이 그렇지는 않고 거래량이나 호재 지속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 입장에서는 이런 급등 종목은 추격 매수보다는 조정 국면을 기다렸다가 들어가는 게 낫습니다. 오히려 손실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이 단기 급등하면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다음날 급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거래량이 적거나 세력 자금이 움직이는 코인은 변동성이 심해 상승분을 쉽게 반납합니다. 이는 단기 수급과 심리가 가격을 크게 흔들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것은 일정한 수익을보았다고 판단한 기보유자들이 시장에 코인을 매도잔량으로 내어놓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코인의 경우 실적을 바탕으로한것이 아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상승하고 하락하기때문에 빠르게 반응해야 수익을 본다 생각하여 매도잔량이 쌓이면 시장가로도 매도를 걸기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초기 상장한 코인은 일단 단타 트레이더들이 엄청나게 몰려들어옵니다. 그리고 여기서 이제 상장했기 때문에 특정 가격에 물려있다거나 이익이 난 구조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말은 순전히 단기 트레이더들의 집단 매매로 이루어지는것인데 이때 보통 단기매매에서 90%는 모멘텀 추세매매입니다 이말은 상승추세일때는 단기트레이딩들이 지속적으로 불타기 형태로 추세를 따라가는 형태이며 또 반대로 추세를 이탈하게 되면 오히려 추세이탈시 손절매 물량만 나오며 다시 추세가 나오기전까지는 매수세가 나오지 않으며 관망을 타는게 일반적입니다. 그러다보니 일정 강한 상승이 나오면 지속적으로 상승추세를 보이고 또 반대로 특정 가격을 이탈하면 지속적으로 계단식 하락으로 추세가 이탈되며 신저가를 형성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고영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승을 하자마자 다음날 상승분 이상 하락한 경우는 알트 코인처럼 유동성이 적은 경우에 더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유동성이 적기 때문에 매수호가와 매도 호가가 촘촘하지 않고 캔들의 변동성이 커집니다. 물론 유동성과 별개로 이러한 현상은 모든 주식과 코인에서 발생합니다.

    상승한 종목이 상승분을 전체 다 반납한다는 것은 차익 실현하는 물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승한 종목이 상승분의 절반 이내 하락을 한 경우 횡보를 거듭하다가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크지만 그 상승분 이상 하락했다는 것은 그만큼 강한 매도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코인의 경우 이렇게 상승분을 반납하더라도 몇 일 또는 몇 주 횡보 후 상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은 급등한 날 이전에 물량을 보유한 대량 보유자(이하 세력)가 가격이 상승하고 하락하는 과정을 통해서 물량을 더욱 확보하는 과정에 있어서 일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거래량 캔들 형태 등을 통해서 짐작할 수는 있지만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급등한 차트는 급등한 날 또는 급등한 다음날 매수하기 보다는 이동평균선과 이격도가 적은 위치에서 매수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호재가 없이 상승하는 코인은 세력에 의한 펌핑이기 때문에 차익매물이 다음날 나오면서 가격이 급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일정한 코인들이 급등을 한 이후 더 떨어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정한 알트코인들은 급등을 하게 되는데

    이렇게 세력 등에 의해서 급한 변동성을 보여주면

    대부분 그 다음 날이 되기도 전에

    조정을 받고 상승장 이전보다 못한 수준으로

    하락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