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이 더웠던 해에는 겨울도 춥다고 하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올 여름은 역대급으로 덥다고 하였는데요, 여름이 더웠던 해에는 겨울도 더 춥다며, 올 겨울도 엄청 추울 것이라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여름이 더울 수록 겨울이 추운 이유는 무엇인지 궁급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지구 온난화로 최근 여름 온도는 점점 올라가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라고 해서 겨울도 무조건 따뜻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추워질 수도 있다고는 합니다.
하지만, 여름이 더우면 겨울은 무조건 더 추워, 이런 단순한 방식은 아닐것 같고 지구 온난화로 더워지지만 특정지역에서는 겨울에 더 추워질 수도 있다,, 고 생각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여름이 매우 더웠던 해에는 지구 온난화와 같은 원인으로 극지방의 기온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극지방과 중위도 사이의 온도 차이가 줄어들면서, 이를 구분하는 제트기류(Polar Jet Stream)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제트기류는 극지방과 중위도 사이에 위치한 강한 바람대로, 이 바람이 약해지면 찬 공기가 남쪽으로 내려오고, 따뜻한 공기가 북쪽으로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트기류의 불안정성은 북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 지역에 유입되는 한파를 일으킬 가능성을 높입니다. 이로 인해 겨울에 더 추운 날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름이 매우 더운 경우, 바다의 표면 온도도 함께 상승할 수 있습니다. 해양의 온도는 대기 순환에 큰 영향을 미치며, 엘니뇨나 라니냐와 같은 현상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여름 동안 덥고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면, 겨울에는 대륙 고기압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여름 동안 지표면의 열이 축적되었다가 겨울이 되면 지표면이 빠르게 식으면서 차가운 고기압이 형성됩니다. 이 고기압이 한반도나 동북아시아로 확장되면서 북서풍을 동반한 찬 공기가 유입될 수 있습니다. 북극진동(AO)은 북극 상공의 대기 압력 패턴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것이 양의 단계에 있을 때는 북극의 찬 공기가 북극에 머물고, 음의 단계에 있을 때는 찬 공기가 남쪽으로 내려옵니다. 여름이 매우 더웠던 해에는 북극진동이 음의 단계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로 인해 겨울에 찬 공기가 중위도로 내려와 한파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