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염라마왕
염라마왕24.04.06

모든생명체에게 살아갈수있는 수명한계가 생긴이유는?

사람,나무.동.식물등 살아있는 생명체에겐 수명기간이있는데

이것이 생긴이유는 무엇인지 처음부터 생긴것인지 아님 진화하면서 바뀐것인지? 불멸은없는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유기체의 몸은 자원을 통해 성장하고 세포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그렇게 유년기와 청소년기 내내 생존 유지 및 가능한 강하고 건강한 존재가 되고 자연 선택의 법칙에 따라 자손을 번식시키고 노년이 되면 언젠가는 생명체는 사멸하는것인것 같습니다. 현대의학으로는 세포역노화는 세포를 리프로그래밍을 해서 새로운 새포 재생능력을 복원하는 기술도 있다고 하기 때문에 이 기술이 활성화된다고 하면 수명은 늘어날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명체의 수명은 진화 과정에서 형성된 것입니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생명체의 수명은 종 전반적인 생존 전략과 관련이 있습니다. 짧은 수명을 가진 생물은 번식이 빠르게 이루어져 짧은 세대 간격으로 진화를 이루며, 긴 수명을 가진 생물은 번식이 느리게 이루어지지만 안정적인 환경에서 존속할 수 있습니다. 불멸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모든 생명체는 어느 정도의 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죽음은 생물의 생존 전략 중 하나로 진화적으로 발전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