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똑똑그대로멈춰라
똑똑그대로멈춰라23.08.27

헐버트가 조선의 독립운동에 도움을 주게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육영공원에서 선생님을 하고 있던 미국인 헐버트가 독립운동에 큰 도움을 주었다고 하던데요. 다른 독립운동가들도 그의 도움에 굉장히 놀라고 감동을 많이 받았다고 알려져있습니다. 그렇다면 헐버트 선생이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머 베절릴 헐버트는 1886년 한국에 온 미국 감리교 선교사입니다. 그가 온 명목은 조선이 영어와 근대식 교육을 가르쳐 줄교사를 미국에 요청했기 때문입니다. 그는 육영공원 교사가 되어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자신 또한 한글을 배웠는데, 한글을 배우면서 한글에 매료되었습니다. 그뒤 조선이 일본에 합방되면서그는 조선의 사정을 미국에 알리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했고, 고종의 특사가 되어 여러가지 일을 했습니다.

    그뒤 일본에 의해 추방되었다가, 1949년 86세의 노구를 이끌고 40년만에 한국에 방문하여 그해 광복절 행상에 참석하고자 했으나, 여행의 여로때문인지 건강이 악화돼 8월 5일 사망하였습니다.

    그의 유언으로 한국의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지에 안장되었습니다.

    그는 안중근 의사가 존경한 사람이었고, 한국인 보다 한국을 사랑한 외국인이었습니다.

    호머 헐버트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육영공원에 영어교사를 파견해달라는 조선의 요청에 응해 국내로 들어오는데 한국의 생도들이 학업에 열정을 보이지 않자 이에 실망, 미국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후 한국에서 일하다 일시 귀국한 헨리 아펜젤러 목사의 권유로 재입국, 외국 서적의 한글 번역 작업과 외국에 대한 한국 홍보활동을 벌여 많은 서적과 기사를 번역, 저술합니다.

    조선에 대한 일제의 압박이 심해지자 헐버트는 조선 내외의 정치, 외교에 관심을 보이며 그 과정에서 고종의 신임을 얻어 최측근의 자리에서 보좌, 자문의 역할을 하며 미국 등 서방 강대국들과의 외교 관련 업무에 힘썼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86년 내한하여 육영공원에서 외국어를 가르쳤습니다. 을사늑약 후 고종의 밀서를 휴대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대통령과 국무장관을 면담하려 했으나 실패하였습니다. 1906년 재입국하여 영문월간잡지 한국평론을 창간하고 일본의 조선침략에 대해 폭로하였습니다. 또 고종에게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만국회의에 밀사를 파견하도록 건의하였습니다. 헐버트는 우리 대표단보다 더 빨리 도착해 회의시보에 우리 대표단의 호소문을 싣게하는 등 대한의 국권회복운동에 적극 지원하였습니다. 사후 대한민국 땅에 묻히기를 희망하여 1949년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에 안장되었으며 1950년 대한민국 최초 외국인에게 건국공로훈장 태극장을 추서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헐버트 선생이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헐버트 선생은 한국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공부하고, 한국의 언어를 배우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헐버트 선생은 한국의 독립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공감을 갖게 되었습니다.

    둘째, 헐버트 선생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독립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육영공원에서 학생을 가르치면서 많은 독립운동가들과 만났습니다.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헐버트 선생은 일제의 잔혹한 만행과 한국인의 독립 의지를 직접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헐버트 선생으로 하여금 한국의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만들었습니다.

    헐버트 선생은 독립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도움을 주었습니다. 그는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고, 독립운동가들의 해외 망명을 도왔습니다. 또한, 그는 미국의 언론에 한국의 독립운동을 알리는 데에도 앞장섰습니다. 헐버트 선생의 도움으로 한국의 독립운동은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국제 사회의 관심을 끌게 되었습니다.

    헐버트 선생은 한국의 독립운동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6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받았습니다. 헐버트 선생은 한국의 독립운동에 큰 헌신을 한 미국인 선교사로, 오늘날까지도 한국인들에게 큰 존경을 받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