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행복을 찾아요
행복을 찾아요23.04.08

아이들이 엄마아빠와 나가서 노는것보다 친구랑 노는걸 좋아하는듯합니다.

지난 일요일에 초등생 자녀를 데리고 키즈카페도 갔다가

맛있는거 먹으러 가자했는데 집앞에 친구들이 놀고있다고

거기갈거라고 하더라고요

키즈카페랑 맛난거 먹으러 안가도되냐하니 안간다네요

초3학년인데 원래 이나이때부터 친구중심으로 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새로운 환경에 눈을 뜨게 되는 만 8세 이상부터는 보통 친구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더 선호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8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생 때부터는 부모님보다는 친구에 대해서 관심과 흥미가 많아지기 때문에 친구와 노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정신적 성숙도가 높은 아이들은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이 빠른편입니다

    조금 서운할 수도 있지만 이른시기부터 자기 앞가림 할 수 있는 아이로 성장했음을 인정해주시고 아직은 연령이 어리니 행선지는 꼭 부모님과 공유하도록 지도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 말씀처럼 초등학교 3학년이면 부모보다 친구가 더 좋을 때 입니다.

    서운하시겠지만 그만큼 아이가 성장했다는 뜻이지요

    친구관계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가는 시기 아이들이 집보다는

    주변 친구들과 어울리고 활동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은

    당연한 성장과정입니다. 너무 서운해하지 마시되 아이가 친구들과

    잘 활동할 수 있도록 대화를 자주 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미취학 아동일 땐, 부모에 무조건 의존하고, 부모와의 일상이 다였지만,

    초등학교에 들어가고 나서 부터는 또래 문화를 접하게 되므로, 부모 보다는 친구를 더 좋아하게 되는 건 어쩌면 당연한 것 같아요.

    아이의 이런 마음에 공감을 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친구를 좋아하는 아이들은 혼자서 친구집가거나 놀이터에서 만나 놀이한다고 하네요 그렇다고 가족과의 시간을 소홀히 하지않게 가족모임이나 반드시 함께 하는 것은 미리 이야기 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초등학생 시절은 친구들과 함께 놀며 소통하고 협력하며 발전해 나가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따라서 친구와 함께하는 것을 좋아하고 선호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이러한 시기에는 친구들과 함께 노는 것이 아이들의 사회성 발달과 친구들과의 관계 형성에도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부모님은 아이들의 관심사와 친구들과의 교류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주며, 아이들의 안전을 고려한 상황에서 최대한 자유롭게 친구들과 놀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이를 위해 가족들과 함께하는 소중한 시간도 충분히 마련해주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관계의 중심이 가족에서 친구로 바껴 갑니다. 발달 단계중 자연스러운 모습이기에 크게 유념치 않으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초등학생이 되면 부모중심의 관계에서 또래관계로 변할수있습니다

    자연스러운 변화로볼수잇기에

    크게 문제될것은 없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