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자유로운풍뎅이41
자유로운풍뎅이41

미국의 경제 연착륙 관련해서 궁금한점 있습니다.

요즘 경제 연착륙 소프트랜딩과 관련하여 여러 기사들을 많이 보게 되는데

실제로 이전에 성공한 적이 있는지 궁금해서요.

이전에도 여러 번 미연준이 소프트랜딩을 하려고 여러가지를 했었던 걸로 알고 있는데

각각의 방법과 결과들이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 경제의 연착륙 또는 소프트랜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과거 역사를 되돌아보면 실제로 성공적인 연착륙 사례가 있었지만, 대부분은 부분적인 성공 또는 실패로 끝났습니다.

      1. 1984년 소프트랜딩:

      • 경제 상황: 높은 물가 상승과 실업률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 연준의 정책: 폴 볼커 의장 하에서 금리 인상 정책을 통해 물가 상승을 억제했습니다.

      • 결과: 물가 상승률은 성공적으로 낮아졌지만, 경제 성장은 둔화되고 실업률은 증가했습니다.

      2. 1994년 소프트랜딩:

      • 경제 상황: 경제 성장과 함께 물가 상승률이 점차 증가하는 상황이었습니다.

      • 연준의 정책: 앨런 그린스펀 의장 하에서 점진적인 금리 인상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 결과: 물가 상승률을 안정시키면서 경제 성장을 유지하는데 성공했습니다.

      3. 2001년 경기 침체:

      • 경제 상황: IT 버블 붕괴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생했습니다.

      • 연준의 정책: 앨런 그린스펀 의장 하에서 공격적인 금리 인하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 결과: 경제는 빠르게 회복되었지만, 부동산 가격 거품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했습니다.

      4. 2008년 금융 위기:

      • 경제 상황: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금융 위기가 발생했습니다.

      • 연준의 정책: 벤 버냉키 의장 하에서 대규모 금융 완화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 결과: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경제 성장을 회복하는데 성공했습니다.

      5. 2019년 금리 인상:

      • 경제 상황: 경제 성장과 함께 물가 상승률이 점차 증가하는 상황이었습니다.

      • 연준의 정책: 제롬 파월 의장 하에서 점진적인 금리 인상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 결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경제 정책 방향 전환을 하게 됩니다.

      6. 2022년 현재:

      • 경제 상황: 높은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으로 인해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연준의 정책: 제롬 파월 의장 하에서 공격적인 금리 인상 정책을 시행하며 연착륙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결과: 아직 정책의 결과는 불확실하며, 경제 상황을 주의깊게 지켜봐야 합니다.

      결론:

      과거 역사를 보면 미 연준은 여러 번 소프트랜딩을 시도했지만, 완벽하게 성공한 경우는 드물었습니다. 현재 상황은 과거와 다른 점이 많기 때문에 과거의 경험을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미래 경제 상황을 주의깊게 지켜보고 정책 방향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연착륙에 대한 내용들로 항상 이야기가 많은데 미국의 고금리 정책 이후에는 사실상 소프트랜딩이 이루어진적은 한차례 밖에 없었으며 대부분 경착륙으로 경제에 큰 침체를 만들면서 회복을 시작했어요. 소프트랜딩을 하기 위해서 하는 정책은 국채매입을 통한 유동성 공급이나 국가 정책 사업 시행등이 있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