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때때로 장기대출을 이용하고 있는데, 여윳돈이 생겨서 상환을 하면 DSR이라고 뜨던데 이말이 구체적으로 뭔가요?

예전에는 이러한 문구가 뜨지 않고 바로 바로 갚아도 아무런 제약도

없고 갚은만큼 대출한도가 늘어났었습니다.

DSR제도는 왜 생긴 것이며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DSR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라고 합니다. DSR 제도의 도입 배경은 가계부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대출자의 상환 능력을 더욱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 마련한 대출심사 지표입니다. 즉 채무자의 대출상환능력을 평가할 때 연간소득액의 40% 범위에서 대출원리금(원금+이자) 상환 가능하도록 하여 대출자가 채무불능에 빠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DSR 한도는 연간 총 대출 원리금 상환액 / 연간 소득 × 100 으로 계산됩니다.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카드론 등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을 포함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dsr과 같은 경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로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의 소득 대비 전체 금융부채의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말합니다.

    가계부채 등을 줄이기 위하여 해당 제도 등이 도입되었으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