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닉이네임이
닉이네임이

지난 정권이 AI 산업발전에 기여한게 뭐가 있죠?

지난 정권이 AI 산업발전에 방해만 했다고 하는데, AI 산업발전에 기여한게 뭐가 있죠?

한국이 AI 초기에는 일본보다 앞서 있었는데, 지난 정권 때문에 지금은 일본한테 뒤쳐져 있다고 하는데, 왜 그런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지난 정권에서는 국내 경제나 산업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거나 관심을 보인 것이 거의 없습니다

    • 그 이유는 작은 정부를 지향하며 최대한 빚을 내지 않은 정부를 추구 했기 때문입니다.

    • 그렇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다시 산업을 국가 차원에서 지원을 하며 기술력을 끌어올려야 할 때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직전 정권이 AI 산업발전에 기여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쉽게도 지난 정권에서는 AI 산업발전에 기여하기 보다

    R&D 예산 삭제 등을 통해서 저해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윤석열 정부는 AI 관련해 민간 주도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투자 유도와 규제 완화 방향을 제시 했으며 초거대 AI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조했습니다.

    AI 산업단지의 전력 수요 급증에 대해 분산에너지 사업 등을 통한 안정적 전력 공급 체계를 마련하였으며 원자력 발전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네덜란드로 부터 EUV 기술 등 협력을 강화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대학, 연구소, 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 AI 인프라를 조성해 누구나 AI 기술개발에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겠다고 했지만, 실제로 예산 투입도 적었고, AI R&D 관련 예산도 삭감하는 등 제대로 된 공약 이행이 없었습니다. 일부 AI에 필요한 인재육성 시도는 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서 AI의 기술력이 한참 뒤쳐져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것은 소프트웨어적이나 하드웨어적이나 우리나라에 해당 산업을 이끌 인재들을 육성하는데 소홀한 것이기 때문일 수 있습니. AI 개발에 친화적인 정책과 환경이 해당 산업을 이끄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리나라도 AI의 중요성을 잘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난 정권에서도 지원 및 AI 개발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을 했지만 눈에 띄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