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청렴한부엉이174
청렴한부엉이174

딴생각을하면 졸게되는지, 졸아서 꿈을 꾸는건지 헷갈립니다.

나이
24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평소 수면시간을 넉넉하게 가져가도 수면의 질이 낮은 편이라 늘 피로를 느끼고 있습니다.

코도 심하게 고는 편이고, 수면 무호흡증은 잘 모르겠습니다.

아침에 잠에서 깨고 한번도 개운한 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부족하다 느끼는 잠을 점심시간에 잠깐의 낮잠으로 해결하는데, 이후로도 잘 깨지않고

자꾸 졸게되어서 문제입니다. 잠깨려고 꼬집거나 세수, 걷기 등을 해도 한순간 뿐이고 딴생각?을 하게되면 그 즉시 조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이뿐만아니라 졸지말아야 하는 상황에서도(회의) 자꾸 졸게되어서 고민입니다.

절대적인 수면의 양이 모자른건지, 기면증?이라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특히 무언가를 집중할때 집중이 흩어지고 딴생각을 하게되면 졸게 되는 것 같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잠을 자던도중 갑자기 두근거리며 깨거나 잠을 많이자도 졸립거나 잠을 잔후에 피곤함을 느낀다면 수면장애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수면장애의 흔한 원인중 하나가 수면무호흡증(코골이) 인데요. 잠을 잘때 숨이 턱 막히는 것을 주변사람이 알려줄 경우에는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는 체중감량이 있고 수술도 경우에 따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당장은 양압환기기를 사용해 수면의 질을 개선해 일상생활의 기능을 회복하시길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수면시간도 중요하지만 수면 질도 중요합니다.

    수면 습관 및 수면 환경을 개선하는 등 비약물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낮잠을 피합니다. 정말 졸린 경우에는 아침에 일어난 지 58시간이 지난 후 1015분 정도만 낮잠을 잡니다. 또한 잠자리에 있는 시간을 정하여, 만약 8시간이라고 하면 8시간 이상 잠자리에 누워 있지 않습니다.

     

    ②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합니다. 다만 자기 6시간 전에는 운동을 마쳐야 합니다.

     

    ③ 수면을 방해하는 물질을 피해야 합니다. 담배를 피운다면 저녁 7시 이후에는 담배를 피우지 않습니다. 카페인이 들어 있는 커피나 홍차, 콜라, 초콜릿 등은 먹지 않습니다. 술도 가급적이면 삼가야 합니다.

     

    ④ 수면에 적절한 환경을 만듭니다. 시계는 잠자리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 두고, 밤에 일어나더라도 시계를 보지 않습니다. 침실은 어둡고 조용하게 유지하며, 필요시 귀마개나 눈가리개를 이용합니다.

     

    ⑤ 잠들기 위해 지나치게 노력하기보다는 긴장을 풀고 편안한 느낌이 들도록 노력합니다. 10분 이상 잠이 오지 않으면 일어나서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하며 잠이 올 때까지 기다립니다.

     

    ⑥ 침대는 반드시 잠을 자는 용도로만 사용합니다. 침대에서 일하는 습관을 버려야 합니다.

     

    이 밖에 의사의 처방에 따라 작용 시간이 짧은 수면제를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질문자님께서 이야기 하시는 증상은 수면 장애의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다만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에 관련하여 전문적인 진료 및 평가가 필요해 보이십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및 검사를 받아보시고 결과에 맞는 치료를 받아보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결국에는 밤에 충분한 수면을 하지 못해서 생기는 증상으로 보입니다. 코골이가 있다면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낮에도 피곤하고 졸릴 수가 있지요. 일단 코골이에 대한 진료를 먼저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