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레인지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전자레인지 돌릴때 수분이 있어야지만 음식이 데워진다고 했는데 만약 마른 음식을 넣으면
데워지지 않나요? 전자레인지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걷기우먼입니다.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자렌지는 어떤 원리일까? 오븐은 오븐 내의 공기의 온도를 높여서 음식을 익히는 반면 전자 렌지는 음식 내의 수분을 이용해 음식을 익힌다.
음식물의 대부분을 이루는 물분자의 구조는 극성을 띠고 있다. 그에 따라 수소이온쪽은 상대적으로 양전하를 산소이온쪽은 음전하를 띠고 있다. 이렇게 분자가 극성을 띠면 분자의 한쪽이 성질이 다른 분자의 한쪽과 결합하게 된다.이때 마이크로파가 결합된 분자에 쏘여지면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자. 마이크로파의 전기장 벡터가 진동하므로 진동하는 힘을 받은 결합된 분자들은 회전하려고 한다. 이때 회전방향이 다른 분자에 의해 운동이 저지되면 결합이 끊어지게 된다. 이 순간 마이크로파 에너지가 들어오게 된다. 잠시 후 분자들이 다시 결합하면서 에너지를 내놓게 되는데 이 에너지가 내부에너지가 되어 음식물을 익힌다.
마이크로파는 여러 방향으로 음식물에 투여된다. 이것은 전자렌지의 구조를 보면 알 수 있다. 전자렌지의 회전판에 의해 마이크로파가 여러 방향으로 반사하게 된다. 보통 마이크로파의 진동수와 물 분자의 진동수가 동일해서 공명을 일으키는 것이 전자렌지의 원리라 한다. 하지만 마이크로파의 진동수는 2.45GHz로서 T =0℃에서 9GHz인 물분자의 공명진동수와 크게 다르다. 만약물분자의 공명진동수와 같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면 에너지 흡수가 훨씬 빠를텐데 왜 그렇게 하지 않을까? 이에 대한 풀이는 전자기학에서 알아볼 수 있다. .마이크로파의 진동수는 침투깊이와 관련이 있다. 침투깊이란 마이크로파가 음식물 표면 속으로 침투할 수 있는 깊이를 말한다.진동수가 증가하면 침투 깊이가 급격히 떨어진다. 그러므로 마이크로파의 진동수를 물의 진동수까지 높이면 음식은 빨리 익겠지만 겉 표면은 먹을 수 없게 될 것이다.
은박지로 싸거나 금속 그릇 속의 음식물은 데울 수가 없다. 이것은 전자기파인 마이크로파가 금속을 뚫고 들어갈 수가 없고, 전자렌지 내부에서 계속 금속 곁에서 반사 축적되면 위험한 상황이 올 수도 있다. 마이크로파가 계속 발생되고 있고, 이 파들이 금속 표면에서 반사되므로 계속 축적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유리나 도자기로 된 그릇은 전자기파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음식물을 데울 수가 있다.
간단하게 설명 드리자면..전자렌지 윗쪽에는 전자파를 일으키는 물건이 하나있습니다.여기서 전자파가 나오구요.회전판으로 인해 전자파가 퍼지면서 물을 대우는겁니다.
대부분 음식은 수분이 있어서 대워지는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