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관리종목에 지정되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최근 국내 상장사가 관리 종목에 지정되었다는 기사를 접했는데요. 그 종목은 하루 거래정지가 되고 다시 풀리던데 다른 불이익이 존재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면 거래정지 외에도 자산건전성, 재무구조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기업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강해져 주가가 하락할 수 있고,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기업은 상장 유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상장폐지될 위험도 존재합니다. 기업의 경영에 대한 신뢰가 낮아져 대외적인 평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관리종목에 지정되면 결국 단기과열종목으로 지정된사유나 회계적이슈로 되는경우가 대다수이며 이경우 증권사의 신용거래나 미수거래 금지 종목으로 불이익을 받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관리종목으로 지정이 되면 우선적으로 중요 사유 발생시 해소될때까지 매매거래가 정지됩니다.
신용, 미수 거래도 금지되며 투자자들에게 신뢰가 하락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또한 관리종목은 공시 의무가 강화되고 주가지수에 자동 제외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관리종목 지정되면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식 종목이 관리종목으로 지정이 된다면
주요한 사유가 발생할 때마다
거래소에서 판단해서 일정 기간 매매거래 정지를 당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주식의 미수나 신용거래가 금지되는 등의
불이익이 존재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