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때 비가 쏟아지는 지구과학적 원리는 무엇인가요??
25년 우리나라 올해 장마가 벌써 끝났다라는 말이 나오는데요. 원래 장마때는 비가 엄청 많이 쏟아지는 시기인데, 왜 쏟아지는지, 장마전선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장마는 초여름 지속적으로 많은비가 내리는 현상인데요 우리나라나 일본 중국 등의 동아시아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계절풍과 기단의 충돌에 의해 나타나는 기상현상으로 북쪽의 오호츠크해 기단(차고 습함)과 남쪽의 북태평양 기단(덥고 슴함)이 만나게 되면서 장마전선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두 기단이 충돌하며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 위로 올라가게 되고 이 상승기류가 공기를 냉각시켜 응결을 유도하고 구름이 두텁게 발달하며 강한 비구름대를 형성하게 되어 며칠~수주동안 한반도 위에 정체되어 오랜 비를 내리게 해주는것이죠. 하지만 2025년은 고기압의 세력이나 해수면의 이상온도변화로 장마가 짧아졌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장마는 북쪽에서 밀고 내려오는 한행 기단(오호츠크해 기단)과 남쪽에서 밀고 올라가는 온난 기단(북태평양 기단)이 만나 서로 세력이 비슷한 가운데 정체되어 나타나는 정체전선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시기는 북쪽에 위치한 기단과 남쪽에 위치한 기단이 만나서 힘겨루기를 하는 시기입니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오호츠크해 기단과 북태평양 기단은 둘 다 해양성 기간이므로 다습한 기단입니다. 이런 다습한 두 기단이 만나 정체된 상황이므로 정체전선을 따라 강수현상이 지속되는 것이 장마입니다. 전선을 중심으로 강수 현상이 나타나는 구간은 온난 전선은 전선의 앞쪽에, 한랭 전선은 전선의 뒷쪽에 나타나므로 정체전선(장마전선)의 북쪽에서 강수현상 나타납니다.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온난기단의 세력이 커지면 장마전선은 북쪽으로 올라갑니다. 장마전선이 북상하면 우리나라는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을 받으므로 찜통더위를 겪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