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우럭아왜울억?
우럭아왜울억?

국내 정유사들의 미래발전가능성??

국내 정유회사들이 많이 있고 수입해온 원유를 가공해서 휘발류 경유등을 생산하잖아요 제가알기로는 정제한 휘발류등을 다시 역수출도 하는것으로 알고있는데요 현재 산유국들의 정유기술자체가 국내기술보다 금액적으로 저렴하게 품질적으로는 순도높게 가공할수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근간 사업이 흔들릴수도있다는 걱정에 질문드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국내 정유사들은 현재 뛰어난 정제 기술로 휘발유, 경유 등을 대량 수출하며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확산과 탄소 중립 정책으로 석유 수요 감소가 예상되어 미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죠. 산유국들의 정제 기술 발전도 위협 요인으로 꼽힙니다.

    이에 국내 정유사들은 친환경 연료(바이오, 수소)와 석유화학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며 적극적으로 변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막대한 투자를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있으며, 정부도 이러한 노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정유 산업이 당장 위기에 처하기보다는, 미래 에너지 전환 시대에 맞춰 끊임없이 혁신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모색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동이나 미국 산유국들이 대규모로 정유 설비를 넓히면서 생산 비용이 낮이지고 품질이 좋아지고

    우리나라 국내 정유사들은 가격 경쟁력에서 불리하게 작용되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정유사업만으로 한계가 존재하며 다른 고부가가치인 친환경 연료라던지 , 수소 등 전환이 필수적이다 라고 할수있을 것같습니다. 또한 국내 정유사가 살아 남으려면 기술력은 기본이고 품질 경쟁력을 갖추어야 할듯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국내 정유사들은 전통적인 석유 정제 중심의 사업 모델에서 벗어나 신재생 에너지, 친환경 연료, 석유화학 및 디지털

    전환 등 다각화 전략을 통해 미래 성장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다만 글로벌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리스크

    관리와 신사업의 성공 여부가 향후 발전 가능성을 좌우할 핵심 요소가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정제수준은 아시다시피 기름 한방울 안나오는 나라지만 세계 5위 수준의 정제능력과 정제용량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나 항공유의 경우는 세계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수출량이 엄청 납니다. 하지만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과 재생에너지 발전의 비중이 높아지며 또한 플라스틱 재료의 사용이 줄어들고 있기에 갈수록 국내 정유사들의 먹거리는 줄어가고 있습니다.

    탄소중립이라는 세계적인 흐름에 맞춰서 바이오 연료나 수소, 전기차 관련 재료 및 원료 생산으로 관심을 가지고 기술을 개발하여야지 생존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