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현이입니다
현이입니다23.05.21

왜 물가는 장기적으로 보면 오르나요?

물가 같은 경우에 보통 일반적으로 크게 보면 계속 오르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고 물가가 오르지 않게 하는 방법 같은 것도 존재하기는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장기적으로 오르는 이유는 경제성장에 따른 것입니다.

    경제가 성장하면 기업이 성장하고 소득이 올라 소비가 자연스럽게 많아집니다.

    이에 따라 상품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니 가격은 오르게 되는거죠.

    다만 오르지 않게 하려면 금리를 올리거나 성장이 더뎌지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의 근본적 원인은 통화량 증가에 있습니다. 통화량의 지속적 증가가 물가의 지속적 상승을 유발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통화량의 지속적 증가는 화폐를 계속 찍어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신용화폐시스템에서는 화폐의 가치가 우하향하기 때문입니다

    최근의 급격한 인플레이션의 원인도 무제한 양적완화의 부작용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장기적으로 계속해사 상승하는 이유는 각 국의 정부와 중앙은행들은 경기 부양을 위해서 통화량이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적당한 인구에 적당한 토지가 있다면 알아서 먹고 살면 됩니다만

    인구는 늘어왔고 토지는 한정되어 있으니 토지의 가격을 올라갔습니다

    토지가 오르니 농작물의 가격도 오르는 거고요

    한국에는 좌파우파개념도 없었지만 해방이후 이승만정부에 의해 자유주의가 들어왔고

    무한경쟁이 시작되어 수단방법 가리지않고 돈만 있으면 된다는 말도 떠돌게 되죠

    나 이대나온여자야 라던가 돈이 곧 힘이다가 바로 이승만대통령의 아들 이기붕 와이프 박마리아의 말입니다

    자유주의 자본주의의 단점 중에 하나가 빈부격차입니다

    있는 자들이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는 구조고 그들의 후손들이 이어나갑니다

    생선한마리 팔기위해 깍고 깍아주는 시장 노인이 아닌

    생선한마리 안팔려도 상관없는 사람들이 가격을 올리고 어쩔수 없는 수요들이 있기에 가격이 형성됩니다

    바로 지금의 계란값입니다 한판에 8천원씩 해도 사니까 안내리는 겁니다

    그들이 개인 영세업자도 아니죠 냅두면 팔리니까 또 이윤이 더 나니까 이어지는 겁니다

    물론 담합도 있지요

    물가조정을 위해서는 담합을 잡아야하고 여러가지 투명한 거래가 필요합니다

    명절때만 되면 비싸지는 식품들 이유가 뭘까요 단순히 수요가 많아서?

    요즘 차례 제사 안지내는 곳도 꽤 늘고있습니다만,...


  • 안녕하세요. 김철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릅니다. 하지만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린경우에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해서 화폐의 가치가 하락되면서 지금처럼 물가가 급격하게 상승할수 잇습니다. 이럴때 금리를 인상시키는등 정부에서 시중에 풀린돈을 걷어들이는 정책을 펼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격이 올라가는 이유는 결국 두 가지밖에 없습니다. 수요가 늘어나거나, 공급이 줄어드는 경우에 가격은 상승합니다.

    국가는 돈을 찍어 내면서 사람들의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에 물가는 오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의 상승이라는 것은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발생하는 것으로서, 경제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는 증가하기 때문에 물가는 경제의 성장과 함께 조금씩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계속해서 경제위기때마다 각국은 화폐를 무제한발행하기때문입니다. 화폐발행이 많아지면 당연히 물가가 오르기 때문입니다. 일본은 특이사항이고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자본주의체제에서 지속적으로 물가가 오르는 것은 경제가 성장하면서 동반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 앞으로도 물가는 지속적으로 우상향 할 것이며, 경제도 같이 성장하게 될 것입니다.

    • 이는 화폐량이 증가하고 기업의 이익이 성장함에 따라 소득수준이 성장하며 동반되는 현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의 특성상 돈의 양은 계속하여

    늘어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고 이에 따라서

    물가가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