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고결한사자119
고결한사자119

언더도그마는 언더도그 효과랑 어떻게 다른가요?

언더도그마랑 언더도그 효과가 비슷한 것 같던데

언더도그마가 (underdogma)였나..

두 개념이 어떻게 다르고 실제로는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렁찬아나콘다276
    우렁찬아나콘다276

    언더도그마는 언더독+도그마를 결합한 단어입니다.

    언더독은 상대적 약자를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스포츠에서 꼴찌인 팀을 언더독이라고 하죠.

    도그마는 그 어원이 "좋다고 생각되는 것"입니다. 현대에 이르러 종교, 철학, 사상 등 강한 신념이나 교리등 의심없이 절대적으로 받아드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언더도그마는 약자에 대한 응원과 지지를 하나의 확고한 신념으로 삼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런 약자에대한 무조건적인 지지는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미국 작가인 마이클 프렐은 러시아의 이 구전을 인용하며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이웃집에 젖소가 한 마리 생겼는데 덕분에 이웃이 큰 부자가 됐어", "그럼 이웃집처럼 젖소를 한 마리 구해드릴까요?", "아니, 이웃집 젖소를 죽여줘"

    "젖소를 갖지 못한 농부가 단지 젖소가 없다는 이유로 도덕적 우위에 서게 되고, 젖소를 가진 농부는 단지 젖소를 갖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하는 것"

  • 언더도그마(Underdogma)언더도그 효과(Underdog Effect)”는 겉보기엔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뿌리가 확연히 달라요 제가 좀 찾아보니. 언더도그 효과 (Underdog Effect)

    • 정의: 대결이나 경쟁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약자(언더도그)에게 사람들이 심리적 공감과 지지를 보내는 현상

      언더도그마 (Underdogma)

    • 정의: 미국의 작가 마이클 프레프(Michael Prell)가 만든 개념으로,
      "약자는 언제나 선하고, 강자는 언제나 악하다"는 비합리적인 세계관 또는 이념을 비판하는 용어

    입니다 한마디로 비슷하긴하나 전자는 현상이고 후자는 이러한 현상을 비판하는 개념입니다

  • 언더도그마는 약자를 무조건 선하고 강자를 무조건 악하다고 여기는 감정적 오류를 뜻하며, 언더도그 효과는 약자에게 동정심이 생겨 지지나 응원이 증가하는 심리 현상을 의미합니다.

  • 언더도그 효과는 약자에 대한 자연스러운 동정, 지지 현상이고 언더도그마는 약자는 선, 강자는 악이라는 맹목적 신념이라 보심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