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질문 한번 더 올립니다 여러의사분들 의견 듣고 싶어서요.이미 답변 다신분들 말고 다른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2023.8.11일에 정수리쪽을 세게 맞음(뇌진탕 전단계정도 세기)8월 22일에 누가 던진공에 뒤통수를 맞고 앞으로 넘어짐 하지만 내가 손으로 짚어서 다른 충격 받는건 면함 이후 증상 없이 지내다가 2023.9.25일쯤부터 오른쪽에 실하나가 생김
2023.10.3일쯤부터 없던 왼쪽눈에 실하나와 구름모양(거미줄모양)비문증 생김 이 상태로 쭉 보임 물론 항상보이는건아니고 왼쩍눈은 가끔씩 오른쩍은 자주 발생 그이후로 쭉 점이 1개정도 양쩍눈에 추가됨 후 2023.10.17일에 동네 안과병원에 내원해서 산동검사만 해 의사가 “너무 깨끗한데요?먼지를 봤나ㅎㅎ”라고 말함 후 2023.12월 초에 오른쪽 끝에 엄청난 비문증 발생 이 비문증은 실이 한 10개정도가 뭉텅이로 엄청나게 돌아다님 너무 무섭게 지내다가 2024.4.4일에 다시 안과 내원후 망막열공 진단
2024.4.5일에 대학병원 방문후 교수님이“오른쪽 끝에 이단분리증(망막이단)+작은 망막열공과 유 견인이 있네요. 주변부엔 찢어진 상처들이 많네요“라고 말했고 왼쪽의 망막열공은 거의 크기가 작은편이고 오른쪽눈은 유리체견인에다가 망막분리증에다가 망막열공도 크기가 왼쪽보다는 상대적으로 큰게 있구요 총 왼쪽에 3개(6시,9시,하나는 위치 기억안남)오른쪽에는 4개정도인데(3~9시방향 3개 위쪽 1개)있슴
난 근시,노화(아직 성장중+어린학생)도 없지만 눈을 평소에 비염+알레르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비비고 비염심할때는 누르면서 세게 오랫동안 비벼왔긴한데 과연 저 외상의 원인이 뭘까요
외상이라고 생각하는이유
1.비문증 발생시점
2.외상후에 아무문제 없다고 한 병원에서 다른검사 없이 오직 산동검사만 함->아주 작은열공등 미세한거 잘 못봤을고 같음
3.논문에서 외상이후 비문증 발생까지 한달 넘은사람이 55.3%->왜냐면 간접적 원인
외상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
A.부위가 정수리여서
B.매우 많응 의사들한테 물어본 결과 거의 대부분 관계 없다고 추측(눈 직접본건 아니고 글로만 추측해준 의사분들)
C.동네병원에서 외상 2달후에 문제없다고 했기 때문
D.머리 외상으로 발생한 망막열공 환자는 몇시간 찾아도 3~4명나옴 근데 눈비벼서 생긴 환자는 몇시간 찾아서 10명 이상나옴
진짜 뭘까요?원인이……
그냥 추측✅부탁드립니다 단순히 “추측”이요+어림잡아 수치로요
안녕하세요. 비문증과 관련한 걱정이 많으신 것 같아요. 비문증은 눈 안의 유리체라는 투명한 젤리 같은 물질이 나이가 들거나 여러 원인으로 변하면서 발생할 수 있어요. 아직 어린 나이시기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서 당황스러우실 수 있지만 이해하실 만한 연관 요소를 설명드릴게요. 눈을 자주 비비는 습관이나 비염과 알레르기로 인해 눈을 자극할 수 있어요. 이런 습관이 유리체 변화에 영향을 줄 수도 있지만, 이미 안과 전문의로부터 망막열공과 유리체견인, 망막분리증 진단을 받으셨다니 그 부분에 주목하는 게 좋겠어요. 뇌진탕이나 머리 외상이 직접적인 원인인 경우는 드물지만, 발생 시점과의 연관성은 전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겠지요. 특히 외상 이후 변화가 없다 하더라도 작은 열공은 시간이 지나며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외상 이후 비문증이 발생할 확률이 관련 연구에서 약 55.3%라는 통계는 제공받으신 바와 같이 있으나, 모든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수치는 아니에요. 실제로 직접적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려울 수 있지만,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으시면서 눈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머리를 다친 후 비문증과 망막열공 같은 안과적 문제들이 생긴 상황에 대해 많이 걱정하고 계시는군요. 이런 상황에서는 몇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먼저, 외상의 영향일 가능성입니다. 머리 외상 후 비문증이나 망막열공이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는 부족하나, 외상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그로 인한 간접적인 변화가 눈의 상태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시간차를 두고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외상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 외상과의 연관성을 낮게 보는 이유도 충분히 있을 수 있습니다. 머리 부위가 정수리라면 눈에 직접적인 충격이 덜할 수 있으며, 외상 후 초기 검사에서 아무런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면 다른 요인을 고려해볼 필요도 있습니다. 또한, 비염과 알레르기에 의해 눈을 자주 비빈 행동이 장기적으로 눈의 상태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습니다. 여러 문헌상 사례를 비교했을 때도, 눈을 비비거나 각종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안구의 상태가 변화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질문자분께서는 다양한 의견을 듣고 싶다고 말씀하셨으니, 이런 상황에서는 계속해서 전문의와 상의하며 경과를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