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절지동물에는 개미나 거미같은 곤충도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단단한 몸을 가지고 있는 동물들은 골격이 겉에서 몸을 싸고 있느냐, 체내에 있느냐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잖아요~ 그런데 절지동물에는 개미나 거미같은 곤충도 포함 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절지동물에는 개미와 같은 곤충도 포함되며, 거미도 곤충은 아니지만 포함됩니다.

    절지동물은 동물종의 약 75%를 차지하는 매우 다양한 동물군으로

    외골격을 가지고 몸이 마디로 나누어져 있는 동물들을 말합니다.

    곤충, 거미, 갑각류등이 포함됩니다.

  • 네, 절지동물문에는 개미와 거미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들이 포함됩니다. 절지동물은 외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몸이 여러 마디로 나뉘어 있고 관절이 있는 다리를 가진 동물군을 말합니다. 이 문은 크게 갑각강(예: 게, 새우), 거미강(예: 거미, 전갈), 다지강(예: 지네, 노래기), 그리고 곤충강(예: 개미, 나비, 딱정벌레)으로 나뉩니다. 개미는 곤충강에 속하는 반면, 거미는 거미강에 속합니다. 따라서 개미와 거미는 모두 절지동물문에 속하지만, 서로 다른 강에 속하는 생물입니다. 절지동물은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하고 성공적인 동물군으로, 전체 동물 종의 약 80%를 차지할 만큼 종 다양성이 풍부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절지동물과 곤충의 차이를 먼저 아셔야 할 것같습니다. 그리고 절지동물의 대표적인 동물인 게와 곤충의 대표동물인 나비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몸의 형태 : 절지동물은 몸이 두부분이나 세부분으로 구성됩니다. 게의 경우 몸은 머리와 가슴이 합쳐진 두흉부와 복부로 나뉩니다. 하지만 곤충은 세부분, 머리/가슴/배로 명확히 구분됩니다. 나비의 경우를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리의 갯수 : 절지동물은 다리의 수가 매우 다양합니다. 게의 경우에는 10개, 5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곤충의 경우는 예외 없이 6개 3쌍의 다리를 갖습니다.

    날개 수 : 절지동물은 날개를 가지지 않습니다. 게가 날개가 있지는 않아요 . 하지만 곤충의 대부분은 한쌍 또는 두쌍의 날개를 가집니다. 나비는 두쌍입니다.

    호흡기관 : 절지동물은 아가미 또는 기관계 또는 폐서로 호흡합니다. 게의 경우 아가미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곤충은 주로 기관계를 통해 호흡합2니다. 나비도 기관계를 통해 산소호흡을 합니다.

    서식지 : 절지동물은 다양한 서식지에 삽니다. 게는 해양 , 민물, 또는 해안가에 살지요. 곤충 역시 거의 모든 환경에서 서식이 가능하지만, 나비는 주로 육지서식하고 꽃과 식물주변에서 서식합니다.

    외골격 : 절지동물은 단단한 외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보호받습니다. 게 역시 딲딲한 껍질으 ㄹ가지고 있습니다. 곤충도 역시 단단한 외골격을 가지고 있지만 성장 중 탈피를 통해 외골격을 변형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면 개미와 거미는 갑각류가 아닌 각각 곤충, 거미류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절지동물'은 절지동물문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으로 곤충과 거미, 갑각류 등을 포함하며 육지 전체 동물 중에서 80% 이상을 차지하며, 종류도 지금까지 알려진 것만 해도 90만 종이 넘을 정도로 개체 수가 많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개미와 거미 역시 절지동물에 속합니다.

  •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

    네, 포함됩니다.

    절지동물에는 곤충류, 거미류, 갑각류, 다지류 가 포함됩니다.

    감사합니다.

  • 네, 절지동물은 외골격을 가진 동물들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개미와 거미와 같은 곤충은 절지동물에 속하게 됩니다. 외골격은 몸을 보호하고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곤충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절지동물은 곤충 외에도 게, 바닷가 소라게, 멍게와 같은 해조류, 그리고 갑각류 등 다양한 동물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외골격을 통해 자신을 보호하고 환경에 적응하며 생존을 유지합니다. 절지동물은 생물학적으로 다양한 형태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우리 주변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발견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