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EKOPFG
EKOPFG

오늘 대통령 시정 연설에서 내년 예산을 728조를 편성했다고 하는데 어떤곳에 많이 편성되어 있는가요

우리나라 올해 예산은 673조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내년 예산은 올해보다 약 8.1프로

증액한 728조를 편성했다고 하는데요 주로 어떤곳에 많이 편성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내년도 728조 원 예산은 올해 대비 8.1% 증액된 확장 재정 기조로,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민생 안정이라는 두 축에 집중 편성되었습니다. 가장 큰 비중은 AI, 첨단 바이오, 우주항공 등 미래 핵심 산업에 대한 R&D 투자 확대와 성장 잠재력을 키우는 데 할당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취약 계층 지원을 위한 맞춤형 복지 확대와 서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한 예산이 크게 늘어나 민생 회복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또한 저출산 극복과 청년층의 일자리 창출 및 교육 시스템 혁신 분야에도 상당한 예산이 증액되어 구조적 문제 해결을 시도합니다. 국방력 강화와 재난재해 대응 능력을 높이는 등 국민 안전과 안보를 위한 필수적 지출 또한 상당 부분 늘어난 것이 특징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내년 예산안 728조는 민생안정, 경기회복, Ai 산업경쟁력, 반도체, 바이오, 고령화 대비, 재난관리 및 의료 인프라, 방위 산업 등을 위주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내년도 728조 예산안은 '확장 재정' 기조로 편성되었으며,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집중됩니다.

    구체적으로 핵심 중점 투자분야로는 인공지능(AI)과 첨단 R&D(35.3조 원), 국방력 강화(66.3조 원)에 역대 최대 규모로 투자합니다.

    또한, 지방 균형 발전(29.2조 원)을 위해 지방 거점 국립대 및 포괄보조를 대폭 확대하고, 저출산·청년 지원 등 민생 및 사회 안전망 강화에도 중점을 두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시정 연설에 따르면, 내년 729조 원 규모의 예산은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가장 중점을 뒀습니다. 특히 인공지능과 기술 연구개발 분야에 대규모 투자가 집중 편성되어 초혁신 경제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역점을 두었고, 노인 복지 확대 및 지역 경제 발전 예산도 크게 늘어났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내년 예산에 대한 내용입니다.

    내년 예산으로는 주로 R&D, 국방비 등에

    더 많은 돈이 들어가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복지, 연금 등 사회지출이 가장 큰 비중, 그다음 교육, 국방, SOC, 이자 비용 순입니다.

    저출산, 산업전환, 디지털, 녹색분야 예산이 점진 확대되는 추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