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가위눌림과 몽유병의 차이와 원리가 무엇인가요

가위눌림은 몽유병은 전혀 반대되는 상황인데요 그렇다면 이런 반대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원리가 무엇이며 이 둘의 정확한 차이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가위에 눌린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의학적으로는 이 증상을 ‘수면마비(Sleep paralysis)’라고 표현합니다. 수면은 크게 렘수면(REM sleep)과 비렘수면(NREM sleep)으로 분류되는데요, 이 중 렘수면은 우리가 꿈꾸는 단계로 모든 근육의 힘이 빠지는 무긴장상태가 됩니다. 수면마비는 바로 이 단계에서 발생하는데요, 본래 렘수면에서 비렘수면단계로 갔다가 깨어나는 것이 정상인데 비정상적으로 렘수면단계에서 바로 각성이 되면 정신은 반쯤 깼으나 몸은 움직이지 않는 수면마비 현상을 겪게 되는 것입니다. 수면마비의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학계에서는 렘수면 시 근육긴장을 조절하는 기전의 미세구조변화나 신경면역학적 기능부전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밖에 수면부족, 심한 스트레스, 음주, 수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 신체적 정신적질환 등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불편한 자세로 잘 때도 수면마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요인을 갖고 있는 사람은 수면 시 가위에 자주 눌릴 수 있습니다. 반면에 몽유병의 증상은 첫 번째나 두 번째 수면 주기 중 수면의 3~4단계(수면서파가 발생하는 깊은 수면 단계)에서 발생한다고 추정되고 있는데요, 몽유병은 병리적인 뇌기능의 문제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중추신경계의 활성으로 인해 비렘 수면과 렘 수면 상태가 교란되어 생긴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가위눌림은 뇌는 활발히 활동하고있지만
    몸은 움직이지않는 근육마비증상 중 하나입니다.

    렘수면단계에서 꿈을꿀때 뇌의 활동은 매우 활발해지지만
    근육의 마비가 진행되고있어 움직일수없게됩니다.

    몽유병은 반대로 깊은잠에빠져있지만 행동을 취하는 현상으로
    비렘수면단계에서 신체가 움직이는 경우입니다.

    즉, 뇌의활동과 신체의 움직임과의 불협화음떄문에 발생하는 현상들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가위눌림은 rem 수면 중 깨어나면서 몸이 일시적을 ㅗ마비되는 상태로 알려져 잇어요

    반면 몽유병은 깊은 수면에서 무의식적으로 행동하는거랍니다.

  • 가위눌림은 수면 마비라고도 하며 잠이 들거나 깨어나는 순간, 몸은 잠들어 있는데 정신만 깨어 있는 상태입니다. 마치 누군가에게 눌린 듯 몸을 움직일 수 없고, 불안감이나 공포를 느끼기도 합니다.

    보통 렘(REM) 수면 단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렘 수면은 꿈을 꾸는 단계로, 몸을 마비시켜 꿈속의 행동을 현실에서 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때 뇌는 깨어 있지만 몸은 여전히 마비 상태여서 가위눌림이 발생합니다.

    주된 증상으로는 몸을 움직일 수 없거나 호흡곤란, 환각, 공포감 등이 발생하며 원인으로는 스트레스나 불규칙한 수면 패턴, 수면 부족 등이 될 수 있습니다.

    몽유병은 깊은 잠 중에 잠에서 깨지 않고 자는 동안 걸어 다니거나 다른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깊은 수면 단계인 비렘(Non-REM) 수면 중에 발생하는데, 뇌의 특정 부위가 완전히 깨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운동 기능이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것입니다.

    주된 증상으로는 잠꼬대, 잠자는 동안 걷기, 물건을 만지거나 옮기는 등 복잡한 행동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요인, 스트레스, 수면 부족, 발열 등이 원인이 있습니다.

  • 가위눌림과 몽유병은 수면 단계에서 나타나는 전혀 다른 현상입니다. 가위눌림은 주로 렘수면 단계에서 발생하며, 뇌는 깨어 있지만 근육은 마비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수면 중 근육 마비 기능이 깨어난 의식과 비정상적으로 겹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반면, 몽유병은 비렘수면 단계에서 발생하며, 뇌의 일부가 깨어 있는 상태에서 신체가 움직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수면 중 억제되어야 할 운동 기능이 활성화되는 데서 비롯됩니다. 두 현상은 수면 단계와 신경계의 특정 부분이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