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능하면 무기력이 두달정도 지속되었다면 우울증의 초기증세로도 볼수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파악하기 어렵다면 심리상담을 받거나 정신과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아보는게 우선되면 좋겠습니다.
객관적인 지표를 보면서 현재 상황을 파악하면 조금더 도움이될것입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정인욱 심리상담사입니다.
어느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흔한 증상 중 하나로 하루 중 대부분이
무기력하고 의욕이 없는 증상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이 2주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검사를 통한 전문적인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울에 도움이 되는식품들이있는데요
들깨에는 리놀렌산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요.
불포화지방산으로 뇌세포를 활성화하여
집중력, 기억력 개선에 도움을 주고
오메가-3가 함유되어 있어
행복감을 주는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시켜
식욕 증가, 수면 조절, 기분 향상으로
우울증에 효과적인 식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정원석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 무기력함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 것 같습니다.
무기력함을 줄이기 위해서 활동적인 부분이 많아져야합니다.
또한, 내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에 대해서 나아가다보면 무기력함이 감소될 것입니다.
그것이 일상의 목표, 진로의 목표 등이 될 수 있겠습니다.
현재 상황에 대해 할 일들을 나열해보시고, 그 할 일에 대해서 미루지 말고 지금 바로 해버려야지 하는 생각을 지니시면서 바로 실천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무기력해서 귀찮고 지루하고 용기나 의지가 나지 않더라도
지금 시작 해야지라는 생각을 지니면서 움직인다면
무기력한 생각이 변환되면서, 무기력함을 극복해 나갈 수 있습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직장인들이 흔히 겪는 ‘번아웃’이 바로 신체적 원인에 의한 무기력에 해당합니다. 몸이 계속 늘어지고 의욕이 샘솟지 않는데 도무지 이유를 모르겠다면 현재 내가 얼마나 많은 일을 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건강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내 몸이 걱정될 때 그것을 걱정으로만 남겨두면 자칫 큰 병을 놓쳐 더 나쁜 상황을 부를 수 있습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