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23.03.24

야간투시경은 어떤원리로 빛이없는 곳에서 피사체 식별이 가능한건가요?

빛이 거의 없는 깜깜한밤에도 야간투시경을 사용하면 사물의 식별이 가능데요 어떤원리인가요?

종종 티비같은곳에서 보여주듯 녹색계열로 보이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간투시경은 주로 열화상 카메라와 이미지 강화 기술을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먼저 열화상 카메라는 물질이 방출하는 열복사를 이용하여 물체를 인식합니다. 모든 물질은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어떤 물질이라도 열화상 카메라로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야간에는 물체의 열복사로 인해 열화상 카메라가 물체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열화상 카메라는 빛이 없는 어두운 밤에도 물체를 식별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미지 강화 기술이 사용됩니다. 이미지 강화 기술은 카메라가 수집한 열화상 영상을 처리하여 더 선명하고 구체적인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녹색계열로 보이는 이유는, 이러한 이미지 강화 기술에서는 빛의 파장 중에서 녹색을 선호하여 사용합니다. 이는 녹색 파장이 빛의 파장 중에서 인간의 눈에 가장 잘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야간투시경에서는 녹색 이미지로 변환하여 보여주는 것이 보다 선명하게 물체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야간투시경은 빛이 없는 환경에서도 인간이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위해 작동하는 장비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원리는 열복사, 즉 열에너지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밤에는 일반적으로 빛이 부족하기 때문에, 야간투시경은 주로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합니다. 적외선 카메라는 적외선을 인식할 수 있는 감지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감지기는 적외선을 받아들이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합니다. 그리고 이 신호는 컴퓨터에 의해 해석되어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이미지로 변환됩니다.

    즉, 야간투시경은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물체의 열에너지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를 만들어 냅니다. 이를 통해 어두운 환경에서도 물체를 인식하고 식별할 수 있습니다.


  • 야간투시경은 빛이 없는 환경에서도 피사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적외선(IR) 카메라와 이미지 증폭 기술을 이용하여 동작합니다.

    우선 야간투시경은 적외선(IR) 카메라를 사용합니다. 적외선(IR)은 눈에 보이지 않는 전자기파 중 하나로, 피사체가 방출하는 열 에너지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즉, 피사체 자체가 적외선(IR)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을 때, 야간투시경은 이를 감지하여 화면으로 보여줍니다.

    또한, 야간투시경은 이미지 증폭 기술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확대하고 강화시킵니다. 이미지 증폭 기술은 적외선(IR) 에너지를 수신한 후, 이를 전자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시킵니다. 이를 통해, 매우 어두운 환경에서도 피사체의 모습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국, 야간투시경은 적외선(IR) 에너지를 감지하고, 이를 이미지 증폭 기술을 통해 강화하여 화면으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를 통해, 빛이 없는 환경에서도 피사체를 식별할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간투시경은 열 이미지 센서(Thermal Imaging Sensor)나 광학 이미지 센서(Optical Imaging Sensor)를 이용해 밝기나 열의 차이 등을 감지하여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장비입니다.

    빛이 거의 없는 깜깜한 밤에도, 야간투시경은 적외선(IR) 빛을 사용하여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사물을 감지합니다. 모든 사물은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열 이미지 센서는 이러한 온도의 차이를 감지하여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이미지는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으로 변환되어 화면에 나타납니다.

    녹색계열로 보이는 것은 야간투시경에서 사용하는 빛의 파장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야간투시경에서 사용되는 빛은 IR 빛으로, IR 빛은 눈으로 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일부 야간투시경에서는 IR 빛을 발생시키는 LED와 함께 녹색 필터를 사용하여 IR 빛을 감지하고 녹색으로 필터링하여 화면에 나타납니다. 이러한 녹색 필터를 사용하여 IR 빛을 감지하면서도, 빛이 밝기 때문에 시인성이 좋아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IR라이트 (TV 리모콘에 달린 LED)을 후레쉬처럼 비추어 반사광을 인식하고 보이게하는것


    (레이더와 비슷한 원리) - 내 위치까지 들키기에 잘 요즘은 잘 않쓴다.


    2세대 광증폭식: 기억이 않납니다 -ㅅ-;;


    3세대 패시브형 광증폭식 : 투시경으로 들어오는 미세한 빛을 증폭관을 통해 수십배 밝게 해주는 것.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간투시경은 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도 밝은 이미지를 생성하여 피사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입니다. 이러한 기능은 야간투시경의 원리에 기반합니다.

    야간투시경은 대부분 광전자 증폭기 (Electron Multiplying CCD, EMCCD)를 사용하여 빛 없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빛을 감지합니다. EMCCD는 초저조도 상태에서 작동하는 카메라 센서로, 단일 광자 감지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EMCCD는 빛을 받으면, 광전자를 생성하여 전압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 신호는 증폭기를 통해 증폭되어 전자 이미지로 변환됩니다. 이때, 야간투시경에는 적외선 LED나 적외선 레이저 등을 사용하여 적외선 빛을 발생시켜, 적외선 영역에서 물체의 열을 감지하고 이를 이미지로 생성합니다.

    또한, 일부 야간투시경은 열 카메라를 사용하여 열을 방출하는 물체의 열을 감지하여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열 카메라 야간투시경은 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미적외선 감지기를 사용하여 물체의 열을 감지하고, 이를 이미지로 생성합니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야간투시경은 적외선 영역에서 물체의 열이나 열 방출을 감지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므로, 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밝은 이미지를 생성하여 피사체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도리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간투시경은 열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빛이 없는 환경에서도 피사체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열학적 원리는 모든 물체가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 온도에 따라서 적외선(IR) 방출을 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야간투시경은 물체의 열을 측정하여 카메라 이미지로 출력합니다.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야간투시경은 빛이 없는 환경에서도 물체의 열을 측정하여 그림자, 열미관계, 열적인 특성 등을 인식하여 물체를 식별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4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간투시경은 빛의 양이 적어도 존재하는 환경에서 작동하는 광학 기기입니다. 야간투시경은 빛의 양이 적은 환경에서도 볼 수 있도록 빛을 증폭시켜주는 기능을 합니다. 이를 위해서 야간투시경은 광전자 증폭기라는 장치를 사용합니다.

    광전자 증폭기는 야간투시경의 렌즈에 적외선 빛이 들어오면, 빛 전자를 방출합니다. 그리고 전자를 전류로 증폭시키는 과정을 거쳐, 약한 빛을 강한 신호로 바꿉니다. 이를 통해, 빛의 양이 매우 적은 어두운 환경에서도 적외선 빛을 감지하고, 인간 눈으로 보이는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의 야간투시경은 열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체온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인체를 감지하고 식별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광학적인 방식으로는 인식하기 어려운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람이나 동물을 감지하고 추적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