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

지구과학 용어 중에 산성암이 무엇인가요?

지리산 인월 감자가 별미로 맛쟁이들의 각광을 받고 있다는 뉴스 중에

"인월은 해발 450m의 고랭지로 감자를 심는 500~700고지의 토양은 구릉 및 산악지로써 암쇄토 및 적황색토, 산성암이 분포하고 있는데 배수가 잘되는 식양질 내지 사양질 토양에서 재배되고 있다." 내용에

산성암이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성암은 표면의 온도가 낮은 환경에서 형성되는 화산암입니다. 즉, 화산이 폭발하면서 나오는 용암이 빠르게 식어서 형성되는 화산암으로, 이러한 암은 실리카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산성암은 주로 대륙성 지역에서 형성되며, 대표적인 산성암 종류로는 황산암, 안산암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산성암은 강한 산성 환경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산성암 지역에는 대개 산성 지하수나 산성 호수 등의 지형적 특징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산성암은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산성암 지역에서는 대량의 광물자원이 발견될 수 있으며, 지열 발전에 이용될 수 있는 지열에너지 자원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산성암 지역은 대개 광물이 풍부한 토양으로 발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산암 중에 표면의 온도가 낮은 환경일 경우 산성암이 생성되게 됩니다. 이유는 낮은 표면 온도에 의해서 화산에서 분출된 용암이 빠르게 식게 되는데 이때 이 암석에는 실리카가 충분히 빠져나가지 못해서 많이 함유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강한 산성의 특징을 띄게 되며 산성암이라고 불리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성암은 주로 규암, 성암, 현무암, 현암 등 다양한 종류의 화산암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어떤 종류의 돌이 산성암인지 판단하려면 해당 돌의 종류 및 지질학적 특성을 조사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산성암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며, 실제 돌의 구성 및 특성은 지리적 위치와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산성암은 산성암은 실리콘과 산소로 구성된 광물 집합체로, 일반적으로 양성암과 비교되며, 높은 실리콘 함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황산철, 황산알루미늄 등 다양한 광물이 산성암의 주요 성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성암은 화산암의 한 종류로, 화산이 분출할 때 녹은 용암이 식으면서 생성됩니다. 산성암은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콘 산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산암 중에서 가장 흔한 종류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암마그마가 식어서 형성된 암석이다. 암석의 성분에 따라서 염기성암과 산성암으로 분류한다. 염기성암은 규소에 비해 산소의 함량이 낮은 암석으로, 대체로 어두운 색을 띤다. 이에 비해 산성암은 규소에 비해 산소의 함량의 높은 암석으로, 밝은 색을 띤다. 실제로 산성, 염기성이 아니라 그냥 이름이 산성암, 염기성암인것이다.

    출처 : 위키백과 - 화성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