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DUWKWHWEKGUS
DUWKWHWEKGUS23.11.06

갯벌이 탄소를 저장한다는데 사실인가요?

요즘 탄소배출권때문에 숲이나 산림 등의 보존가치가 올라가는 추세인데요

갯벌도 탄소를 어마어마하게 저장한다는데

갯벌은 아무것도 없는 진흙탕인데

어떻게 탄소를 저장하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갯벌은 탄소를 효과적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울대 연구팀의 조사와 분석에 따르면, 국내 갯벌은 약 1300만톤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연간 최소 26만톤에서 최대 49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고 합니다.

    이는 연간 최대 자동차 20만대 분량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것과 같은 수치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갯벌은 바다와 육지의 경계에 위치한 생태계로서, 많은 해양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 해양 생물들은 광합성을 통해 탄소를 흡수하고, 이를 바다 바닥에 쌓아놓습니다. 이렇게 쌓인 탄소는 갯벌이 건조해지면서 바다 바닥에 묻히게 되는데, 이를 '갯벌 탄소'라고 합니다. 갯벌 탄소는 바다 바닥에 묻히면서 지속적으로 쌓이고, 이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많은 양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갯벌이 탄소를 저장하는 것은 그 자체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갯벌은 바다의 수면 상승 등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갯벌을 보존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갯벌은 탄소를 저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갯벌은 저서미세조류와 같은 미생물들이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유기물을 생성합니다. 이 유기물은 퇴적되면서 탄소로 저장됩니다. 갯벌은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곳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에 유리한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갯벌은 퇴적작용이 활발하기 때문에, 유기물이 오랜 시간 동안 저장될 수 있습니다.